경기도 분향소 7곳으로 줄어.. “진상규명 시작도 안했는데”
11일 부천시는 지난 4월 25일 부천시청 로비에 설치했던 분향소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부천시 관계자는 “지난 9일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조모 씨 일가족 장례를 마지막으로 세월호 희생자 중 부천시민의 장례가 모든 끝남에 따라 철거를 결정했다”고 전했다. 수원시도 오는 15일까지 분향소를 운영한다.
한때 38개의 분향소가 설치됐던 경기도 내 분향소는 현재 7곳으로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다른 지역에서도 기초자치단체 및 시민단체가 마련한 분향소의 운영이 중단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세월호 합동 분향소를 조기에 문 닫기에는 아직 이른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자체가 월드컵 특수를 누리기 위해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을 지우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다. 서주호 정의당 서울시당 사무처장은 “아직도 12명의 실종자가 남아있다. 월드컵은 월드컵일 뿐. 분향소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네티즌들도 분향소 철거에 아쉬운 내색을 표했다. 네티즌들은 “선거가, 월드컵이 세월호를 잊게 할 수 없다”(@funro***), “세월호 진상규명 시작도 안했는데 벌써 잊혀지는 것 같아 두렵다. 아이들의 목소리가 사라지는 것 아닌지 모르겠다”(@hope***), “공을 차라고 했지, 유가족과 국민을 차라고 한건 아니지 않나”(@poeman****) 등의 반응이 나왔다.
한편 전국 17개 시도청 소재지별로 각각 한 개씩의 합동분향소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시청광장에 설치된 합동 분향소를 안산 지역 합동영결식이 끝날 때 까지 유지할 예정이다.
- 세월호 유족, 국가 상대 첫 손배소송 제기
- 세월호 유가족, 진도VTS 증거보전 작업 진행
- 단원고 유니나 교사 ‘의사자’ 선정 청원 이어져
- 정진영, 세월호 진상규명 서명운동 동참
- 김장훈 “본적은 독도, 현주소는 안산과 진도”
- 세월호 승무원 재판‧공직자 명예훼손 재판에 대한 단상
- 여야, 세월호 국조 기관보고 일정 ‘치킨게임’
- 아내 잃은 남편의 시와 딸 위한 아빠의 추모영상 ‘애절’
- 이준석 선장 “세월호 승객 구조는 해경 책임” 주장
- 김장훈 “朴, 세월호 서명운동 발대식에 함께 했어야”
- 세월호 3층서 시신 추가 수습.. 실종자 13명
- 김포고 2학년 3반 “세월호 잊지 말아주세요” 합창
- [SNS] 박원순 진도 재방문 “잊지 않겠다” 위로
- 동료들 외면, 부상 당한 승무원 김 모씨 시신 수습
- 세월호 실종자 시신 유실 가능성 ‘현실화’ 우려
- 사고 51일만에 돌아온 일곱 살 요셉이의 아빠
- 세월호 국조특위, 실종자 가족과 간담회.. “생색내러 왔나”
- 세월호 선체서 16일만에 실종자 시신 한 구 수습
- 세월호 희생자 성적 모욕한 일베회원 구속기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