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 심각…“MB정부, 집중이수제‧한국사 선택 등 폐해”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한 국내외적 질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위안부 할머니’를 모르는 청소년들도 있어 우리나라 역사 교육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 학기나 일 년에 몰아서 배우는 집중이수제와 한국사가 필수과목에 포함돼 있지 않은 수능 제도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28일 <SBS>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역사 인식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청소년 A군은 “서대문 형무소 있잖아요. 뭐하던 곳인지 알아요”라는 질문에 “글쎄요. 잘 모르겠어요”라고 답했다. B군은 “야스쿠니 신사 들어봤어요”라는 물음에 “아니요. 사람 아니에요? 위인. 야쿠르트 먹고 싶어져요”라고 말했다.
C군과 D군은 “위안부가 뭔지 알아요”라는 질문에 “잘 모르겠는데. 저도 잘 모르겠는데요. 독립운동 했던 곳?”이라고 답했다. E군은 “야스쿠니 신사가 어떤 건지 알아요”라는 물음에 “신사, 숙녀 할 때 신사아니에요?”라고 말했다.
또 다른 한 청소년은 “만약 일본 친구가 와서 왜 독도가 한국땅이냐고 물으면 가르쳐 줄 수 있어요”라는 질문에 “옛날에는 많이 알았는데 지금은 저 고3이라 (역사 공부를 안 해서) 많이 잊어버렸어요”라고 답했다.
교육시민단체들은 역사 교육의 ‘집중이수제’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한국사와 국사는 한 학기나 일 년의 짧은 기간에 몰아서 배우도록 하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수능 필수과목에서 한국사가 빠진 것'이 결정적 요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박범이 회장은 29일 ‘go발뉴스’에 “이명박 정부의 미래형 교육과정 중 집중이수제의 명목은 교과목의 집중도 향상이었다”며 “하지만 이 같은 교육과정의 결과는 수능 고득점을 위한 국•영•수 중심 교육 과정, 역사 과목의 등한시, 올바른 역사 인식 부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 회장은 “초등학교 때부터 자연스럽게 역사와 철학 과목이 교육돼야 한다”며 “이를 통해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비판적 안목을 키우고 사고력 증진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회장은 “다만, 이같은 교육은 중•장기적 방안”이라며 “현실적으로는 수능 제도에 역사 과목이 필수로 채택돼야 한다”고 말했다.
좋은교사운동 좋은학교만들기 김영식 위원장은 ‘go발뉴스’에 “역사 인식 문제를 학교와 교육, 제도의 문제로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며 “역사적 지식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선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를 키워서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역사 인식을 습득토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위원장은 “입시 위주의 교육에 문제가 있다”며 “입시를 벗어나 수업 기능이 정상화돼야 한다. 내부 소통, 토론 등의 학습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 학생과 교사의 자율성도 보장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역사 교육이란 단순한 사실 전달이 아니다”며 “(위안부 할머니들의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수요집회 참석 등 역사 수업이 아이들의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가야한다. 역사 교육의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美 언론 재차 아베 ‘침략 망언’ 강하게 비판
- 20년 넘어선 위안부 할머니와의 소통…‘낮은 목소리’ 상영회
- 위안부할머니 “우리 고통 담았다” 아베총리에 항의서 전달
- 대법 “역사교과서 수정, 저작권침해 아냐”…“배움통제 우려”
- 아베 망언‧우경화에 외신들도 “군국주의” 맹비난
- 日 아베 망언에 여론 ‘부글’…“국제망신 당해봐야”
- 日전범기가 서울 한복판까지...역사의식 붕괴 심각
- 5‧18 비하, 역사왜곡 법적 책임 묻는다
- 日교과서 “독도는 日땅” 표기 늘어…韓 “강력대응”
- 영국 밴드 ‘뮤즈’ 뮤비에 ‘전범기’ 등장 논란
- 대한변협 외교부에 공개 질의…“위안부 문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 “日전범기 논란…‘민주주의·인권 뭔 소용?’ 의식 깔린것”
- 日전범기가 서울 한복판까지...역사의식 붕괴 심각
- 日전범기에 나치경례 대학생 논란…몰역사 교육 ‘참담’
- ‘코리안 좀비’ UFC 정찬성 “日전범기, 亞의 나치 상징” 일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