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아베 총리 역사 왜곡 맹비난.. 집단 성명 ‘이례적’
미국 역사학자들이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미국 역사 교과서 왜곡 시도를 반대하는 집단성명을 발표했다.
미국역사협회(AHA) 소속 역사학자 19명은 현지시간으로 5일 ‘일본 역사가들과 함께 서서’라는 제목의 집단성명을 발표했다. 미국의 역사학자들이 특정 이슈에 대해 집단성명을 발표한 것은 전례없는 일이다.
학자들은 성명서를 통해 일본 정부가 정치적 목적으로 미국 출판사나 역사학자들에게 연구 내용을 바꾸도록 압력을 가하는 점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해서는 “위안부 강제징집은 사실”이라고 못을 박았다.
학자들은 지난해 11월 일본 정부가 미국 맥그로힐 출판사의 역사 교과서를 거론하며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술이 잘못됐다며 수정을 요구한 것을 비난했다.
이에 맥글로힐 출판사는 “학술·표현의 자유 침해”라고 반발해 일본 정부가 국제적 망신을 초래한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일본 정부의 과거사 지우기를 주요 이슈로 다루며 “아베 총리의 노력은 헛될 뿐 아니라 역효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학자들은 “우리는 출판사를 지지하고 ‘어떤 정부도 역사를 검열한 권리가 없다’는 하버트 지글러 하와이대 교사의 견해에 동의한다”며 “우리는 과거로부터 배우기 위해 역사를 가르치고 만들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일본 정부가 양심적인 일본 역사학자들을 위협하는 점도 거론하며 “일부 보수 정치인들은 국가적 책임을 부정하기 위해 법적 논쟁을 지피고, 우익 극단주의자들은 위안부 문제를 기록에 남기려는 언론인들과 학자들을 위협하고 겁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성명서를 작성한 학자들은 코네티컷 대학의 역사학자 알렉시스 더든 교수를 비롯해 프린스턴 대학의 제레미 아델만, 코네티컷 대학의 젤라니 콥·마크 힐리, 산타바바라 대학의 세이바인 프뤼스틱, 컬럼비아 대학의 캐럴 글럭, 콜로라도 대학의 미리엄 킹스버그, 조지아 공과대학의 니콜라이 코포소프, 아메리칸대학의 피터 커즈닉, 피츠버그대학의 패트릭 매닝, 보스턴 칼리지의 데빈 펜다스·프란치스카 세라핌, 코넬 대학의 마크 셀덴,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대학의 스테판 다나카, 노트르담대학의 줄리아 애드니 토머스, 어바인 캘리포니아 대학의 제프리 워서스트롬, 하와이대학의 허버트 지글러와 시어도어 윤주 교수 등이다.
- ‘위안부’ 피해 할머니 또 별세.. 남은 생존자 53명
- ‘위안부’ 피해 황선순 할머니 별세.. 남은 생존자 54명
- 日정부, 고교 교과서 내 ‘군 위안부’ 기술 삭제 승인
- 청소년, 위안부 역사 인식 심각.. 65% “고노담화 몰라”
- 日<아사히 신문>, 위안부 문제 전담 특별취재팀 편성
- 대학생이 세운 파란날개 ‘평화의 소녀상’.. “새롭게 도약”
- [포토] 위안부 문제 해결 위해 ‘대학생들이 나섰다’
- WP “박근혜 대통령, 독재자 아버지 각본 이어받아”
- ‘위안부’ 보도 前 아사히 기자 “폭력에 굴하지 않을 것”
- NYT “위안부 부정 아베 정부 역사왜곡은 불장난”
- 日, 위안부 문제 논의하자며 소녀상 철거 요구
- 日 <요미우리신문>, 종군위안부 ‘성노예’ 표현 사과
- 한일 국장급 ‘위안부’ 협의 또 헛바퀴.. 장기화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