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위안부 관련 한국사 교과서, 양과 질 턱없이 부족”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문제를 풀게 한 결과, 100점 만점 중 평균 49점으로 역사 인식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고생 65%는 고노담화를 알지 못하고 있었다.
5일 <한국일보>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 중·고등학생 613명을 대상으로 문제를 풀게 한 결과 중학생 213명의 평균 점수는 42점, 고등학생 372명의 점수는 54점으로 평균 48.99점으로 낙제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93년 일본 정부가 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담화에 대해 묻는 객관식 문제에서는 35.3%만이 고노담화라고 적었다.
최근 일본에서 정권의 우경화에 따라 고노담화를 무력화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미래세대가 이마저 모르고 있다면 앞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데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뿐만 아니라 위안부 문제 해결의 근거가 되는 역사적 사실들에 대해서는 일본의 논리가 상당히 퍼진 것으로 조사됐다. 1965년 체결된 한일 협정문의 일부를 읽고 답하는 문제에서는 “한국 정부가 다시 협상을 요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이해한 경우가 63%나 달했다. 또 일본군이 위안소를 만든 이유가 아닌 것을 고르는 객관식 문항에서는 정답률이 64%에 그쳐 ‘조선여성들에게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위안소를 만들었다’는 보기 문항이 맞다고 생각한 학생이 36%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군 위안부의 개념에 대한 문제에서도 일부 상식 밖의 오답이 눈에 띄었다. 위안부 용어를 묻는 문제에는 87.6%가 정답을 답했지만 ‘매춘부’ ‘위안군’ ‘종속 위안부’ 등 잘못 표기한 답들이 속출했다.
전문가들은 청소년들의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낮은 역사인식의 원인으로 한국사 교과서의 관련 내용이 양과 질 측면 모두 턱없이 부족한 점을 지적했다고 <한국일보>는 설명했다. 교과서마다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약 20여만명으로 추정되는 조선 여성들은 일제에 의해 중국, 동남아시아, 태평양 제도 등의 전선에 일본군 위안부로 보내져 갖은 수난과 희생을 겪었다’는 정도의 사실 소개에 머물고 있다.
이번 퀴즈에 참가한 A고교 교사는 <한국일보>에 “출판사별로 2줄에서 많게는 1페이지가 전부”라며 “역사시간에 배우는 것만으로는 관련 상식을 취득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여순주 한국정신대연구소 연구원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현재 진행형이며, 여성 인권과도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미래세대가 모두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들”이라며 “꼭 역사 수업시간이 아니더라도 이 주제와 연결해 탐구 과제를 내주거나 특강을 통해 문제를 알릴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