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보 파문에 대한 문제 검증.. “원칙대로 편집 독립성 중시할 것”
<아사히신문>은 26일 기자회견을 열고 “위안부의 실상을 마주하고 독자에게 알기 쉽게 전하기 위해 위안부 문제를 전담하는 특별 취재팀을 만들겠다”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은 지난 8월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강제동원 증언 기사 취소 문제를 검증한 ‘제3자위원회’ 보고서에 대한 견해를 표명하기 위해 열렸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와타나베 마사타가 현 <아사히신문>사장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외부 전문가들과 논의를 거듭하고 해외에 기자를 파견 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일본군 위안부는 식민지나 점령지 등 지역의 차이, 전쟁 진행 상황의 차이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모집하고 운영했다”며 “이 같은 실태를 면밀하게 취재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아사히신문>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제주도에서 한국인 여성을 강제로 끌고 왔다는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을 담은 1980~90년대 기사를 취소한 바 있다. 요시다의 증언이 거짓이었다는 게 취소 이유였다.
이후 신문은 위안부 모집에 강제성이 없다고 주장하는 일본 정부와 우익 언론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결국 기무라 다다카즈 사장이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이에 와타나베 사장은 “요시다 증언 기사를 취소할 당시 독자에게 사과하지 않는 것은 당시 사장의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제3자위원회는 <아사히신문>의 오보 대응에 대해 “오보를 오랫동안 방치했고, 독자의 신뢰를 완전히 저버렸다”고 비판했다. 1992년 이후 요시다 증언에 의문이 제기됐는데도 이를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1997년 특집 기사에서도 요시다 증언의 진위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견해를 밝히고도 정정하지 않은 것이 잘못이었다는 지적이다.
이번 파문과 관련해 경영진이 지나치게 편집문제에 개입했다는 지적과 관련해 와타나베 사장은 “경영진이 편집권의 독립을 중시하고, 원칙적으로 기사나 논설의 내용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또 기사나 논설이 경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라고 판단해 관여하는 경우 그에 따른 책임을 명확히 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