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강제 연행 사실 부인하려는 의도?’ 의혹 제기도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보도하면서 ‘성노예’(Sex slaves)라는 표현을 썼다며 사죄 기사를 게재했다.
신문은 지난 28일 자사 영문판 신문인 <데일리 요미우리>를 통해 “종군위안부에 대해 성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위안부 피해자들이 성관계를 강요당했음을 의미하는 표현을 사용한 것을 적절하지 못했다”고 사과했다.
이어 “위안부를 ‘일본군에 의해 매춘을 강요당한 여성’으로 정의해 잘못 기술한 사례가 12건이 있었다”며 “‘위안부(Comfort women)’라는 표현이 외국인 독자가 이해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본지에는 없는 설명을 잘못된 인식에 기초해 추가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일본의 대표적인 보수성향 신문인 <요미우리>의 이번 사과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 연행 사실을 부인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일본 우익 활동가들은 종군위안부가 일본군에 강요받은 것이 아니라며 ‘성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반대해 왔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종군위안부 피해자 상당수가 자신의 의사에 반해 강제로 일본군에 끌려왔으며 위안부 수용소에서 강압적인 성관계를 강요당했다고 조사를 통해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당시 조사에서 강제성을 입증할 공식 문서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으며 이 때문에 일본 극우단체들은 이를 근거로 강제연행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7월 유엔 시민적·정치적 권리위원회는 일본군 위안부를 ‘성노예’로 규정하고 일본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지난 10월 유엔 측에 해당 보고서 내용 일부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