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잠수사 “해경, 비밀유지 각서 받았다”

해경 “희생자 사적 정보유출 막으려한 것” 해명

해경이 세월호 선체 수색과정에 대한 비밀을 지키라는 각서를 받아갔다는 민간잠수사의 주장이 나왔다.

11일 민간잠수사 신동호 씨는 <JTBC>와의 인터뷰에서 “수색 과정에 있었던 일을 인터뷰 (등을 통해) 발설할 때는 5년 동안 민형사상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내용의 각서를 작성했다”고 밝혔다.

신 씨는 이 같은 내용의 각서를 5월 16일 언딘 바지선에서 다른 잠수사들과 함께 작성했으며, 각서를 쓰라고 요구한 이유에 대해 “현장에서 이뤄지는 해경의 무능, 우리가 알 수 없는 이해관계 이런 것들 때문에 함구하라는 것 같다”고 말했다.

'JTBC' 방송 캡처
'JTBC' 방송 캡처

신 씨는 또 “처음부터 해경이 실종자 수색이 아닌 인양에 목적이 있었다”는 의문도 제기했다.

신 씨는 해경이 바지선을 여러 차례 바꾸거나 현장에서 꼭 필요한 수중 장비를 배제하고 잠수사들을 투입하는 등 현장 사정을 고려하지 않은 지시를 내렸다면서 “일련의 돌아가는 과정들과 해경들이 하는 행동들을 봤을 때 (해경이) 인양에 목적이 있었던 것이지 애초부터 실종자 수색은 뒷전이었다 (생각한다)”고 밝혔다.

신 씨는 이날 인터뷰를 마치고 범정부사고대책본부 상황실을 찾아 자신이 제출했던 각서를 확인시켜 달라고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JTBC>가 이와는 별도로 각서의 내용에 대한 해명을 범대본에 요청한 결과, 범대본은 서약서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실종자 가족이나 희생자의 사적인 내용이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였다고 해명했다.

한편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의혹투성이에다 제대로 일 한 건 하나도 없었네”(누구**), “유병언과 선장도 문제지만 해경 책임은 누가 질 거냐?”(하늘의***), “세월호 침몰부터 전 과정을 지켜봐 왔던 국민들이라면 정부나 해경이 한 것은 누가 봐도 ‘구조’가 아니라 ‘인양’이었다는 건 말 안 해도 알 거다”(시리**), “보도통제하고 잠수부 입막음하는 것만큼 철저하게 구조에만 전념했어봐라”(쥔*) 등의 반응을 보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