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광한의 MBC, 첫 인사위는 광우병 부관참시?

조능희 PD “‘감시견’ 역할 포기, 권력 향해 꼬리 흔들겠다는 신호”

MBC가 6년 전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위험을 보도한 <PD수첩> 제작진을 인사위원회에 다시 회부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PD협회는 “부관참시”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MBC는 2008년 4월 방송된 <PD수첩> ‘미국산 쇠고기, 과연 광우병에서 안전한가’ 편을 제작한 조능희 PD 등 4명을 오는 7일 열리는 인사위에 회부했다. <PD수첩>이 사실 확인을 미흡하게 해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고, 이로 인해 회사가 두 차례 사과방송을 하는 등 회사 명예를 실추시켰다는 이유다.

하지만 6년 전 일이고 법원도 이미 제작진 징계가 부당하다고 결론을 내린 사안을 다시 끄집어 내는지 의문이다 .1심 법원은 “취재진에게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것으로 보기 부족하다”며 “회사의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보기도 어려워 징계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2심 법원 역시 “방송 내용 중 일부가 허위이며, 이를 보도한 것에 과실이 있어 징계사유는 존재한다”면서도 “중징계는 징계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위법”이라고 판결했다.

MBC 사측 관계자는 “징계 자체를 무효로 본 1심과는 달리, 2심에서는 징계 사유는 있으나 중징계가 재량권을 남용한 것으로 봤다”며 “양형에 맞는 징계 수위를 정하기 위해 인사위를 여는 것”이라고 <경향>에 밝혔다.

또 “1심 판결 이후에 제작진의 징계 처분은 취소됐기에 이번에 열리는 인사위가 첫 번째 인사위인 것”이라고 말했다.

ⓒ MBC
ⓒ MBC

이에 MBC PD협회는 “법원 판결은 사측이 직권을 남용해 무리한 징계를 했으니 실질적인 명예회복 조치를 하라는 것인데도, 사측은 이를 아전인수 식으로 해석하고 있다. 부관참시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협회는 이어 “사내 구성원의 강력한 반대에도 두 차례나 무리하게 사과방송을 강행한 것은 경영진이었다. 왜 그 책임을 제작진에게 전가하는가”라고 지적했다.

조능희 PD는 <경향>에 “안 신임 사장의 첫 번째 인사위에 <PD수첩> 제작진을 회부한 것은, 현 경영진이 앞으로 ‘감시견’의 역할을 포기하고 권력을 향해 꼬리를 흔드는 MBC를 만들겠다는 신호로 읽힌다”고 우려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의 박주민 변호사는 “‘보도 내용이 회사의 명예를 손상시킨다는 이유로 섣불리 직원을 징계하는 경우 궁극적으로 언론의 자유를 위축시킬 위험이 있다’는 징계에 관한 법원의 판단을 사측이 정면으로 거스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PD수첩> 제작진에 대한 징계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11년 9월 사측은 제작진이 회사의 명예를 떨어뜨렸다며 조능희·김보슬 PD에게 정직 3개월을, 송일준·이춘근 PD에게 감봉 6개월의 징계를 내린 바 있다.

이는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위험성 보도로 정운천 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제작진에게 대법원이 무죄 확정 판결을 내린 직후에 일어난 일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