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1 면담’ 통해 노조 탈퇴 유도, 명백한 부당노동행위
삼성전자서비스 일부 협력업체들이 직원들의 노동조합 가입을 막거나 탈퇴를 회유하는 등 노조파괴에 개입하고, 이를 ‘보고문건’으로 작성한 사실이 드러났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 금속노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등은 19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원청 측(삼성)이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업체 사장들에게 노조활동 무력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부당노동행위를 직접 교육하고 실행을 지시한 정황이 포착됐다”며 “삼성이 노조파괴 배후에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삼성측은 협력업체 사장들을 ‘조직관리자’라고 이름 붙이고 노조를 결성하려는 노동자들을 ‘제거’하라고 지시했다”며 “노조 결성 이후에는 협력업체 사장들에게 ‘일일 활동보고’라는 문서를 작성하도록 해 노조가입 현황, 노조 활동, 조합원 면담 결과, 노조 가입을 방해하거나 탈퇴를 종용한 내용 등을 일일이 보고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삼성전자서비스 양천센터가 작성한 ‘현황파악’ 문건과 춘천센터의 ‘일일 활동보고’ 등 3건의 문건을 공개했다.
문건에는 양천센터의 3개 그룹별로 총인원과 노조가입 인원이 각각 조사돼 있었다. ‘추가가입 방지활동’에는 노조에 가입하지 않는 직원들을 1대1 면담을 하고, 사장의 뜻을 전달하며,노조 가입이 예상되는 직원에 대한 행선지를 파악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또 노조 측에서 운영 중인 모바일 온라인 커뮤니티인 ‘밴드’에서 탈퇴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도 있었다.
‘설득 논리’로는 ‘노조 가입에 대한(특히 민노총) 공멸사례 설명으로 이해시킴’, ‘개인별 급여와 연결됨을 설명하고 업무에 전념하는 것이 현명함을 설득’, ‘개인별 우호적 엔지니어를 바탕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설득 전파’ 등으로 노조 탈퇴를 유도했다.
춘천센터 경우에는 날짜별로 구체적인 활동 내용을 적었다. 지난해 12월6일에는 ‘매운탕집’에서 오후 7시부터 ‘사장, 팀장 합동하여 CSP 탈퇴할 수 있도록 활동했으며 외근 팀장은 신입사원, 지원팀장은 고참사원을 대상으로 활동하고 이후 사장이 집중 관리한다’고 돼 있다. 을지로위원회 등은 ‘CSP’가 노조를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민주당 은수미 의원은 삼성전자서비스 센터 관리자가 노조의 동향 파악을 한 뒤 조합원에게 잘못 보낸 문자를 공개하기도 했다. 공개된 문자에 따르면 해당 관리자는 “차를 주차장에 세워놓고 00차몰고 어디 간 것 같습니다. 칠곡 주위에 모이는 것 같습니다”라고 노조 측 동향을 감시한 내용이 담긴 메시지를 보냈다.
협력업체의 이러한 행위는 명백한 부장노동행위로 현행 노동조합법이 사용자가 노조 가입 행위와 설립, 설립 준비 행위 등에 개입하면 처벌하도록 하고 있다.
을지로위원회와 시민사회 단체들은 “지난해 공개된 ‘S그룹 노사전략’ 문건을 통하여 삼성이 무노조경영이라는 반헌법적 노조파괴 방침을 전사적 규모로 세우고 실행한 것이 밝혀졌다”며 “그런데 삼성은 스스로 반성하고 시정하기는커녕 더 노골적으로 노동조합을 적대시하고 파괴하기 위한 방침을 지시하고 실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부당노동행위를 지시하고 시행한 삼성에 대해 정식으로 고소·고발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등 민형사상 모든 책임을 묻겠다”며 “소비자 연대 항의를 조직해 불법경영에 대한 시민사회의 분노를 삼성에 전달해주겠다”고 경고했다.
- 삼성서비스센터 잇단 폐업.. “노조 파괴 위한 위장책”
- 삼성AS 기사들 “대체인력 투입 중단” 촉구
- 삼성서비스 협력사 직원 ‘업무상 재해’ 첫 인정
-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업체 노조활동 첫 인정
- 비정규 노동자들 “우리가 최종범이다” 선언
- “삼성 무노조 신화 타파, 민주주의 역사 새로 쓰는 것”
- 백기완 “삼성, 돈 좀 있다고 까불지 마라”
- 프레스센터, 故최종범씨 관련 기자회견 대관 거부
- “응답하라 삼성!” 故 최종범 대책위, 노조와 교섭 요구
- 삼성서비스기사 아내의 증언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 권영국 “삼성, 노조설립 막으려 생계로 노동자 탄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