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씨 “29만원 입증할테니 뇌물수사기록 보여달라”
전두환씨 일가가 잇달아 국내외 부동산을 매물로 내놓고 처분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검찰의 수사를 피해 서둘러 현금화에 나선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5일 <노컷뉴스>와 안민석 의원실에 따르면, 전씨의 삼남 재만씨는 대규모 포도농장이 밀집한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에 위치한 고급주택을 지난 3월 14일(현지시간)매물로 내놨다.
지난 1991년 지어진 이 집은 방5개에 욕실이 3개 딸렸으며 가격은 450만 달러(약 50억원)에 달한다.
검찰도 이런 사실을 포착하고 미납추징금 환수를 피하기 위한 ‘꼼수’가 아닌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 집은 아직 팔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매물이 나온 시점은 정치권에서 전두환씨의 미납추징금 환수를 위해 법안을 앞 다퉈 발의하는 등 관련 논의가 활발한 시점이기 때문에 재만씨가 미리 손을 쓰려고 했을 개연성이 크다고 <노컷>은 분석했다.
장남인 전재국씨도 최근 서울 평창동에 있는 부동산을 비밀스럽게 매물로 내놓은 것으로 드러났다.
621㎡(187평), 324㎡(98평) 두 개의 필지 위에 세워진 지하 2층 지상 2층 건물에는 갤러리인 ‘시공아트스페이스’와 한국미술연구소가 들어서 있다.
이 건물이 매물로 나온 사실은 주변 부동산 중개업소들도 잘 알지 못할 정도로 재국씨는 은밀하게 거래를 추진하고 있다. 가격은 70억원 안팎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가격이 너무 높아 아직 찾는 사람이 별로 없다”고 전했다.
시공아트스페이스 등은 검찰이 지난달 16일 전씨 일가의 회사와 주택을 압수수색할 당시 포함됐던 곳이다.
앞서 차남인 재용씨는 서울 이태원동에 있는 빌라 2채를 시세보다 싼 값에 지인에게 매각하기도 했다. 재용씨는 이른바 ‘전두환 추징법’(공무원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이 국회를 통과한 지난 6월 말 250㎡(약 75평) 규모의 빌라 2채를 시세보다 10억원 싼 30억원에 매각한 사실이 들통나 검찰에 압류를 당했다.
이런 가운데 전두환씨 측은 5일 검찰이 1995~96년 진행했던 전씨의 뇌물수수 사건 수사기록에 대한 열람‧복사 신청을 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이는 전씨측이 수사기록을 분석해 ‘기업들에게 받았던 돈은 다 써버렸거나 추징금으로 내고 현재 남아있지 않다’는 주장의 근거를 대겠다는 취지로 해석되고 있다.
전씨의 변호를 맡은 정주교 변호사는 <국민일보>에 “‘12․12, 5․18 및 전직 대통령 뇌물사건 특별수사본부’가 수사했던 전 전 대통령 뇌물 혐의 관련 기록 일체에 대해 열람 신청을 할 계획”이라며 “그걸 보면 돈의 실체에 대해 진실에 가까운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변호사는 또 “전 전 대통령은 보유 재산 전부를 이미 추징금으로 냈고, 더 이상 납부할 능력을 상실했다”며 “수사기록 열람 신청을 하면서 ‘왜곡된 사실을 바로잡고자 한다’는 취지의 사유서도 붙일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은 이로써 전씨측이 자진해서 추징금을 납부할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졌다면서 “(뇌물수사기록 열람)신청이 들어오면 내줄 수 있는 자료와 없는 자료를 검토해 보겠다”는 검찰 관계자의 말을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