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靑, 비서실장 명의→대변인 대독 사과

野 “주말 이용, 진심없는 3단 사과…또다른 오기”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41%까지 추락한 가운데 청와대가 30일 잇따른 장‧차관 낙마 사태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주말을 이용한,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 명의의, 그것도 김행 대변인을 대독시킨 사과문으로 야당으로부터 “진심 없는 사과”라는 비난을 받았다.

허 비서실장은 이날 오전 김행 대변인을 통해 발표한 사과문에서 “새정부 인사와 관련해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 인사위원장으로서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허 실장은 “앞으로 인사 검증 체계를 강화해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혜 정부 출범 한달여 만에 낙마한 장ㆍ차관급 인사는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 황철주 중소기업청장 내정자, 김학의 법무부 차관,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 그리고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자 등 모두 6명에 달한다.

최대석 외교분과 인수위원,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와 청와대 비서관 4명까지 합치면 12명의 고위공직자가 각종 의혹으로 줄줄이 낙마했다.

이같은 연이은 인사참사로 29일 한국갤럽이 발표한 박 대통령 지지율 여론조사에서는 41%로 추락, 30%대까지 위협받는 상황이 됐다.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의 ‘대리사과’에 대해 민주통합당은 “청와대 대변인의 진심 없는 대독사과로 끝낼 일 아니다”라고 비난했다.

김현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비서실장의 직접 대국민 사과도 아니고 대변인이 비서실장의 사과문을 대독한 것은 또 다른 오기”라고 혹평했다.

김 대변인은 “주말을 이용해 사과를 하는 것도 그렇지만, 인사실패에 대해 누구 한 사람 책임지지 않고 사과문 대독으로 넘어가려는 청와대의 행태는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고 비판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박근혜 대통령은 더 이상 국민의 요구를 외면하지 말고, 직접 나서서 국민들께 사과해야 한다”며 “또한 비서실장, 민정수석에게 인사실패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경질을 요구했다.

진보정의당 이지안 부대변인도 논평에서 “누구 하나 책임지겠다는 사람은 없었다는 게 아쉽다”며 “더욱이 대변인 대독을 통한 대국민 사과가 국민에 대한 예의를 다 한 것인지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이 부대변인은 “인사검증 체계를 강화해 만전을 기하겠다고 발표한 만큼 밀봉인사도, 불통이미지도 벗어나 국민과 우선소통하고 철저하게 검증하는 청와대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통합진보당 홍성규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허태열 비서실장 명의의, 그것도 김행 대변인이 대독한 사과문에서는 정작 박근혜 대통령의 진심을 전혀 느낄 수가 없다”며 “거세지는 국민적 여론에 마지못해 응한 것으로 또 하나의 ‘국민기만’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통합진보당은 공식 트위터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해야 할 일을 허태열 비서실장이 작성하고 김행 대변인이 대독. 이쯤되면 ‘3단 사과’쯤 되나”라며 “국민기만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라고 비난했다.

앞서 이상돈 전 새누리당 비대위원은 27일 허태열 비서실장의 사과 추진에 대해 “진정으로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면 비서실장이 사퇴를 해야지 비서실장이 사과한다는 것은 어울리지 않다”며 허 비서실장의 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