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 41%까지 추락, 끝없는 인사참사 악영향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이며 40%선도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달 25일~28일 나흘간 전국 성인 1천218명을 대상으로 대통령의 직무 수행 평가를 물은 결과 41%는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부정적인 평가는 28%였다. 보통은 10%였고, 의견유보는 2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주에 대비해 긍정적 평가는 3%p하락했고 부정적 평가는 9%p나 늘어났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부정 평가가 눈에 띄게 상승한 점이 특징이다. 한국 갤럽은 “최근 일주일 사이 주요직 내정자의 잇단 사퇴로 박근혜 정부의 인사 난맥이 또다시 부각한데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335명의 부정적 평가자들의 51%가 ‘인사 잘못함, 검증되지 않은 인사 등용’, 9%가 ‘독선, 독단적, 자기 중심’을 이유로 응답했다.
연령별로는 20대~40대의 지지율이 낮았다. 특히 30대의 긍정적 평가는 27%에 그친데 비해 부정적 평가는 39%에 달해 유일하게 부정적 평가가 더 많았다.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59%가 긍정적 평가를, 16%가 부정적 평가를 기록했다.
박 대통령의 임기 1년차 1분기를 올해 3월 3~4주 직무 수행 평가 평균치로 산출한 결과, 긍정적 평가는 42%, 부정적 평가는 23%다.
역대 대통령 임기 1년차 1분기에서 긍정평가는 김영삼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이 71%로 최고였고, 박 대통령의 42%가 최저로 나타났다. 부정적 평가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이 29%로 가장 높았고 김영삼, 김대중 대통령이 7%로 가장 낮았다.
한국 갤럽은 “김영삼, 김대중 대통령에 비해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 초기 지지도가 낮은 것은 2000년 6월 제정한 인사청문회법 영향으로 보인다”며 “이후 법 개정으로 인사청문회 대상 범위가 확대돼 인수위 시절부터 대통령 취임 직후에 이르기까지 ‘인사’가 평가 주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방식으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주순에 오차범위는 ±2.8%p며 응답률은 17%다.
- 안철수 “또 단일화 앞세우면 국민열망 이해하기 어려워져”
- 안철수-김지선 ‘단일화’ 성사여부에 ‘촉각’
- 막오른 ‘노원병 보선’…안철수, 허준영과 오차범위 내 경쟁
- 이상돈 “朴, 닉슨 워터게이트 사임때도 지지율 30%였다”
- 朴 지지율 30%대 추락…계속된 하강곡선
- 안철수, 노원병 지지율 1위…이준석과 10%p차
- 뜨거워지는 ‘노원병’…노회찬 부인 출마에 安 귀국임박
- 안철수 “또 단일화 앞세우면 국민열망 이해하기 어려워져”
- 안철수-김지선 ‘단일화’ 성사여부에 ‘촉각’
- 막오른 ‘노원병 보선’…안철수, 허준영과 오차범위 내 경쟁
- 이상돈 “朴, 닉슨 워터게이트 사임때도 지지율 30%였다”
- 朴 지지율 30%대 추락…계속된 하강곡선
- 안철수, 노원병 지지율 1위…이준석과 10%p차
- 뜨거워지는 ‘노원병’…노회찬 부인 출마에 安 귀국임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