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법, 한국사회 보여주는 시금석.. 제대로 만들어야”
국민대책회의는 이날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대표자 회의를 열고, “세월호 특별법 진상조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은 정부와 여당으로부터 반드시 독립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대표자회의에는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 김중배 언론광장 공동대표, 이영주 전교조 수석부위원장, 이필립 언론지키기 천주교모임 대표 등 각계 대표와 시민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이날(27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를 ‘집중농성 기간’으로 선포하고, 농성 기간 동안 72시간 시민연속발언대(시민 필리버스터), 세월호 추모 영상제, 범국민 추모대회, 세월호 공개 라디오 등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제준 정책기획팀장은 “여야 간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을 볼 때 2차 합의안보다 못한 내용으로 후퇴하려는 조짐이 보인다”며 “새누리당은 세월호 특별법으로 만들어진 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을 대통령이 임명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진상규명을 하지 않겠다는 것과 무엇이 다르냐”고 비난했다.
김중대 언론광장 공동대표는 “세월호 특별법은 지금의 한국 사회가 어떤 사회인지를 보여주는 시금석”이라며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여야 정치인들이 제대로 만들지 않으면 스스로 세월호 참사의 주범임을 인정하는 꼴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단원고 희생자 고 이민우 군의 아버지 이종철씨는 “요즘 들어 날씨가 쌀쌀해졌는데 4월 사고 당시 날씨 같아서 가슴이 아프다”며 “계절은 계속 바뀌고 있는데 유가족들은 4월 16일에 머물고 있다. (진상규명은) 진행된 것이 없고 정부 측은 계속 압박만 가하고 있지만, 진실을 밝히기 위해서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72시간 시민연속발언대에 오른 시민 이원호씨는 “가족들은 정말 작은 뼛조각 하나라도 잡고 싶은 마음이고, 수색을 하기 위한 인양을 해달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이씨는 “최근까지만 해도 가족들은 인양의 ‘인’자만 꺼내도 두려워했지만, 수색을 연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양을 조심스럽게 논의하기 시작했다”며 “배를 조금 들어올려 실종자를 찾는 데 도움이 되게 하는 등 수색에 방점을 찍은 인양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7월18일 마지막 실종자를 찾은 이후 3개월 넘게 추가로 찾은 실종자가 없어서 가족들은 지금 피가 마르고 있다”며 “가족들은 뼈만이라도 찾고 싶다고 울분을 토한다. 수색을 포기하고 인양하겠다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민대책회의는 세월호 참사 200일인 다음 달 1일 오후 5시 청계광장에서 특별법 제정을 위한 범국민 진상규명 운동을 진행한다.
- [포토] “세월호 특별법, 국민과 함께 만들어 갈 것”
- 대책회의 “새누리, 진상규명 방해해온 靑 비호” 항의
- [포토] 국민대책회의 “새누리, 진상규명 방해.. 국민이 심판”
- 세월호 광화문 농성 100일...“국민, 새로운 역사 쓰다”
- 세월호 집회 진보단체만 무더기 채증.. 보수단체는 ‘0건’
- “안전한 대한민국.. 특별법 제정 위해 싸우는 이유”
- 돌아오지 못한 10명의 실종자.. “끝까지 함께 해달라”
- 세월호 국민대책회의 “검찰 세월호 수사.. 꼬리 자르기”
- 광화문 촛불 문화제.. “이젠 국민이 함께 행동할 때”
- 세월호 국민대책회의 “약속 깬 대통령․국회 필요없다”
- [포토] “여야 합의안, 권력으로의 독립 확보 방안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