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대본, 5일째 기자브리핑 ‘생략’.. 잊혀지는 팽목항

수색 인력 축소 내부문건 공개 되자 부인.. 곳곳엔 철수통보?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범정부사고대책본부가 지난 26일부터 30일까지 5일째 언론 기자를 상대로한 브리핑을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예상된다.

범정부사고대책본부가 언론사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와 메일에 따르면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26일 목요일 10시 브리핑을 진행하지 않았고, 이후 27일과 28일, 29일까지 연달아 브리핑을 하지 않았다.

범대본은 이어 29일 저녁에도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내일(30일) 오전 10시에도 브리핑을 진행하지 않을 것을 밝혔다. 이날은 범대본이 1차 정밀 재수색을 종료하고, 새로운 수색계획을 실종자 가족들에게 설명하겠다고 밝힌 날임에도 기자들에게 '브리핑'을 열지 않아 질문기회를 박탈하겠다는 뜻이다.

범정부사고대책본부가 브리핑을 진행하지 않음에 따라 '진도군청'에서 상주하던 기자들은 연합뉴스 등 통신사 기자를 포함해 소수만 남아있는 상태이며, 진도 현장에 있는 기자들 대부분은 숙소에서 나오지 않거나 떠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제공= 국민TV
사진제공= 국민TV

세월호 수색 인력이 축소될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연합뉴스>는 29일 "민·관·군 합동구조팀이 다음달부터 세월호 수색 잠수사와 해군함정 등 인력과 장비를 대폭 축소해 운영하겠다는 내부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가 공개한 범정부사고대책본부 내부문서에 따르면 해경·해군 관계자 등이 지난 21일 수중탐색 협조회의에서 오는 7월 15일까지를 목표로 수중탐색 기간을 연장하고 추가연장 여부는 유가족 반응과 탐색결과를 고려해 결정하기로 했다.

이어 장기 수색에 지친 해군 잠수사들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투입 잠수사 수를 7월 1일부터 현재의 3분의 2 수준으로 줄이고, 15일 이후에는 현재 기준 2분의 1수준으로 대폭 줄인다는 내부 방안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해군잠수요원 인원조정 및 대·증조기 저조시 탐색횟수 감소운영'을 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문서에는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범대본측은 "해당 문서는 우리가 작성한 문서가 아니다"라며 반박했다.

이 장관은 "당초 해군측에서 상기와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범정부사고대책본부에서는 불가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며 "민·관·군 합동수색팀은 마지막 한사람의 실종자까지 끝까지 수색해 나갈 것이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신문고뉴스>가 확인결과 야간 수색작업을 돕기 위해 동원된 어선의 선장 A씨는 "오는 7월 7일 9척의 동원된 어선이 모두 철수하기로 했다"며 "우리들이 철수하게 되면 대체인력이 없을 경우 야간수색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팽목항에 있던 식당 자원봉사 한 곳의 천막은 오는 6월 말 철수하라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고, 다른 천막의 관계자도 7월 15일까지 철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세월호 가족대책위원회는 잠수사 피로 누적 문제는 인력 충원으로 해결돼야 한다며 정홍원 총리가 약속한 대로 수색 규모를 줄이지 말고 일관성 있게 대책을 세워달라고 촉구했다.

* 이 기사는 인터넷 뉴스 신문고(http://www.shinmoongo.net/sub_read.html?uid=59539)에도 동시 게재 되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