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수색 인력·장비 7월부터 대폭 축소?

범대본 “사실 아냐.. 실종자 끝까지 수색할 것”

정홍원 국무총리가 유임 후 첫 일정으로 27일 진도를 찾아 “마지막 한 명까지 수색에 온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지만 정작 민·관·군 합동구조팀은 다음 달부터 세월호 실종자 수색에서 인력과 장비를 대폭 축소해 운영한다는 내부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지난 21일 수중탐색 협조회의에서 해경·해군 관계자 등은 오는 7월15일까지를 목표로 수중탐색 기간을 연장하고 추가 연장 여부는 유가족 반응과 탐색결과를 고려해 결정하기로 했다.

또한 장기 수색으로 인한 해군 잠수사들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투입 잠수사 수를 7월1일부터는 현재의 3분의 2 수준으로 줄이고, 15일 이후에는 현재 기준 2분의 1수준으로 대폭 줄인다는 내부 방안이 제시됐다.

이 방침대로라면 다음달 1일부터 현재 109명인 해군 SSU 잠수사가 70여명으로, UDT잠수사가 89명에서 60여명으로 줄어든다.

또한 현재 잠수부들이 물살이 빠른 대조기, 중조기에도 현장 바지에서 대기하도록 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대조기, 중조기에는 잠수사들을 전원 철수시켜 휴식을 취하게 하는 방안도 제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해양경찰청'
ⓒ'해양경찰청'

해군함정 등 장비 지원도 줄어들 전망이다. 사고해역에 있는 독도함은 정비와 훈련 참가를 이유로 다음달 15일 쯤 진도 해역을 떠나 진해 지역으로 복귀할 예정이다.

또 실종자 감소로 현장구조지휘본부 역할이 감소했다며 지휘본부 인원도 현재 28명에서 18명으로 줄여 해군 3함대 사령부로 이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같은 보도에 대해 범대본은 ‘go발뉴스’에 “사실이 아니”라며 “범대본에서는 그런 내용을 언론에 이야기 한 적 없다. 현재 관련 내용에 대한 진의 여부를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이후 범대본은 해명자료를 내고 “당초 해군 측에서 인력과 장비 축소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범대본에서는 불가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며 “다만 해군의 해상경계태세 유지 및 특수대원의 피로누적 등을 고려하여, 현장에서 인력 및 장비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언론에 나간 것 처럼)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관계자가 이런 사실을 언급한 바 없다”며 “민·관·군 합동수색팀은 마지막 한사람의 실종자까지 끝까지 수색해 나갈 것”이라 강조했다.

앞서 합동구조팀은 1차 정밀수색이 끝나는 이번 달 30일 이후에는 해군, 해경, 민간이 각각 맡았던 수색 구역을 교대해 다시 정밀수색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