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범대본, 잠수사 부실 관리 실태 도마

잠수사 신원·자격·건강 상태 등 업체 제공 정보에만 의존

세월호 선체 절단 작업 중 민간 잠수사 이 모 씨가 사망한 가운데 범정부 사고대책본부의 민간 잠수사 관리 실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1일 오전 진도군청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잠수 자격증도 없는 이 씨가 작업에 어떻게 투입될 수 있었냐는 지적에 범대본 고명석 공동대변인은 “팔팔 수중개발에서 제출한 성명, 경력사항, 자격증 이름 등이 적힌 서류만 믿고 현장에 투입했다”고 밝혔다.

이어 “수중작업에는 잠수사들의 팀워크이 중요하기 때문에 잠수사 개인 채용이나 경력에 대해선 업체에 믿고 맡기는 실정”이라며 “자료들을 확인 할 수 있는 길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고 말했다.

고 대변인은 “어제 열린 TF회의에서도 잠수사 자격 확인에 대한 명확한 대책을 세우기로 하고 자격 여부를 확인해 맞지 않는 사람들은 배제하자는 의견이 내부적으로 나온 상황”이라 덧붙였다.

사진제공= 국민TV
사진제공= 국민TV

잠수사 병력 관리도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고 대변인은 “잠수작업에 필요한 정도의 몸 상태만 확인 한다. 구체적인 병력 사항까지는 요구하지 않는다”며 “병원에서 공식적으로 제출한 건강검진 서류를 믿고 그 이상은 필요하지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씨가 사망 전까지 잠수 관련 질환으로 산업재해 판정을 받아 요양 급여를 받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이 씨가 잠수에 적합한 몸 상태가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다.

결국 현장 잠수사들을 최종 관리하고 지휘해야하는 해경과 팔팔 수중개발 투입을 요청한 해양수산부, 잠수사들의 건강검진 등을 지원하는 보건복지부 모두 이 씨의 신원과 자격, 몸상태 등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셈이다

한편 이번에 사망한 이 씨가 본명이 아닌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작업에 참여한 것과 관련해 고 대변인은 “잠수사들끼리는 서로 다 아는 사이다. 다른 잠수부가 이름이 다르다고 지적하자 숨진 이 씨가 개명했다고 말했다고 들었다”며 “현재 조사중”라고 밝혔다.

앞서 범대본은 지난달 6일 민간 잠수사 이광욱 씨가 사망했을 당시에도 경력은 물론 이름과 주소지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서둘러 투입했다가 비판을 받았다.

이에 잠수사들의 자격 검증 절차와 사전 건강검진, 적응 훈련 등을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이번 사고를 통해 범대본의 허술한 민간 잠수사 관리 실태가 여실히 드러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