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수색작업에 첫 투입된 민간잠수사 사망

원인 ‘기뇌증’ 추정.. 현장 적응 과정 거치지 않고 투입

6일 세월호 침몰 사고 실종자 수색을 하던 민간잠수사 1명이 사망했다. 사망한 잠수사는 사고해역에 처음 투입됐는데도 현장 적응과정도 거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6시 5분께 민·관·군 합동구조팀이 수중 수색을 재개한 직후 민간잠수사 이 모 씨가 작업 중 의식을 잃어 목포 한국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숨졌다.

©'YTN'
©'YTN'

언딘 마린 언더스트리 소속 민간잠수사인 이 씨는 이날 오전 6시 7분께 잠수했고 5분여 만에 통신이 중단됐다.

이 씨는 작업 당시 동료 잠수사 없이 수심 25m까지 단독 입수한 상태였다. 이 씨의 호흡 상태가 급속히 나빠지며 연락이 두절되자 해군 잠수요원들이 투입돼 이 씨를 바지선 위로 끌어올려 구급조치를 했다. 구급조치 후에도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자 이날 오전 6시 44분에 헬기로 이송, 7시 12분께 목포 한국병원에 도착했지만 7시 36분 최종 사망 판정을 받았다.

이에 병원 측은 민간잠수사 사망 원인을 기뇌증으로 추정했다. 박인호 목포 한국병원장은 “뇌 속에 공기가 차 있는 ‘기뇌증’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피 검사에서 칼륨 수치가 높았다. 기뇌증은 외상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고 압력 차이가 발생하는 다이빙과도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 씨는 잠수사들의 피로누적을 감안해 언딘에 의해 고용돼 추가투입된 민간잠수사 13명 가운데 1명이었다. 전날 사고 해역 바지선에 도착한 뒤 기상 악화로 잠수하지 못했다가 이날 오전 첫 잠수 도중 사고를 당했다.

한편 민관군 합동구조팀은 이날 오전 사망 사고 발생 이후 수색을 중단했다가 재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