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만히 있지 말라’는 민심이 반영된 교육감 선거
제6회 전국동시 지방선거 교육감 개표 결과, 교육의 미래가 보수의 몰락을 예고하다.
소위 말하는 진보 성향 교육감 후보들이 6.4 지방선거에서 압승했다. 총 17명의 전국 교육감 중 4년 전에는 불과 6명에 불과했던 진보 진영이 이번에는 무려 13명의 당선자를 배출한 것이다. 일부 언론에서는 나머지 4군데 선거구를 중도 2명 · 보수 2명이라고 분류하기도 하지만, 이렇게 중도로 분류된 대전과 대구도 사실상 보수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진보 13: 보수 4’인 셈이다.
물론, 진보 성향 교육감 후보들은 전반적으로 단일화가 됐고 보수 성향 후보들은 그렇지 않았던 점도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러나 2위 후보들 중에도 언론에 의해 중도로 분류되는 후보들이 꽤 있다는 걸 감안하면, 적어도 교육에 있어서만큼은 ‘보수의 실패’로 결론 내릴 수 있을 듯싶다. 사실 교육과 관련된 부분을 이념적 잣대인 진보 또는 보수로 나누는 것 자체가 좀 조심스럽지만, 어쨌든 한국에서는 이런 분류가 어느 정도는 의미가 있다는 걸 아예 부정할 수도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수도권의 교육은 이제 진보가 완전히 책임지게 됐고, 그외 지역에서도 진보 교육감에 대한 ‘학습효과’가 앞으로 대한민국의 교육을 상당 부분 바꿔놓을 걸로 기대된다. 여기서부터는 제6회 전국동시 지방선거 교육감 선거 결과만 빠르게 보고 넘어가자.
‘기존 교육’ 또는 ‘박근혜 교육’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걸로 볼 수 있고, (단체장 선거와 확연히 다른 결과를 볼 때) 비록 자신들은 정치적으로 보수를 지지하지만 아이들을 위한 교육적인 부분에서는 새로운 길을 열어준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듯하다. 그래서 결국 우리 아이들은 진보 교육감의 혁신교육을 받게 됐고, 불과 3년 전만 해도 큰 논란거리였던 ‘무상급식’은 이제 그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
교육은 ‘백년대계’라고 하는데, 마침내 대한민국 교육 혁신의 중요한 계기가 만들어진 셈이다. 세월호 참사를 통해 보수는 교육에서 실패했다는 게 명백해졌고, 교육감 선거 결과는 이런 국민들의 인식 변화를 상징하는 것이다.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이고, 혁신교육의 미래는 한국보수의 몰락을 예고하는 건 아닐까? 마치 곽노현의 무상급식이 오세훈을 침몰시킨 것처럼..
- 6.4선거 결과, PK-TK 새누리 안방 붕괴 조짐 뚜렷
- [SNS] 광역단체장 與 8곳 野 9곳 승리.. 모두 ‘옐로카드’
- 방송3사 출구조사, 서울 박원순 ‘우세’ 경기·인천 ‘경합’
- [포토] 고교생 1인 시위 “교육감 투표권 주세요”
- 서울시 교육청 대변인 고승덕 비난 카톡 유포
- 문화예술 80인 “조희연 교육감 후보 지지” 선언
- 네티즌, 조희연 아들 글 관심.. 고승덕 딸 글과 대조
- 고승덕-문용린 공방.. “국민 눈엔 진흙탕 개싸움”
- [SNS] 문용린 “패륜” vs 고승덕 “공작정치”
- [SNS] 고승덕 후보 기자회견.. “사퇴하지 않겠다”
- 고승덕 딸 사태로 본 보수의 도덕성, 이렇게 달랐다
- 아귀다툼된 서울 교육감선거, 선택은 유권자 몫
- [SNS] 고승덕 딸 페북글 파문.. “껍데기에 열광하는 사회”
- 고승덕 후보 딸 주장 재미동포 “아버지가 자식 버려” 글 파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