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증거조작.. “애국심 강해 그럴 수 있어” 발언 논란
이명박 정부에서 첫 국가정보원장을 지낸 김성호 전 원장이 북한 추종세력이 우리 법원이나 검찰, 언론기관에 침투해 있을 가능성을 강하게 주장해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2일 김 전 원장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초·재선의원 모임인 혁신연대모임 특강에서 “북한은 남남갈등을 일으켜 통일을 하겠다는 전략”이라면서 “그래서 국회에도 진출을 좀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내란음모 혐의로 구속기소 된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 사건을 먼저 꺼냈다.
김 전 원장은 이어 “거기뿐만 아니라 법원도 있고, 여러분도 다 느낌이 있을 것이다”라면서 “검찰에도 없다고 말하기 어렵고, 언론기관에도 침투했다. (이것이) ‘공산주의 진지론’이라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국정원의 간첩사건 증거조작과 관련해서도 “믿고 싶지 않은데 어쨌든 애국심이 너무 강해서 그렇게 할 수 있다”며 “원래 정보원의 신세가 그렇다”고 말했다.
이어 “흑색요원이나 정보원이 노출된 것은 심각하게 반성해야 한다. 돈 받고 일하는 정보원은 순진하지 않고 믿을만한 사람이 아니다”면서 “국정원이 너무 순진하게 대응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 내부에는 안보 위해세력들이 존재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특히 간첩사건 피고인 유우성씨 변호를 맡은 민변에 대해 “마치 하수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전 원장은 유우성 씨에 대해 “분명히 간첩이라고 볼만한 증거가 많다. 간첩이 정보원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면서 사실상 간첩으로 단정했다.
법무장관까지 지낸 바 있는 김 전 원장은 간첩사건 증거조작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에 대해서는 “통제불능의 터미네이터”, 국정원 개혁을 추진한 국회에 대해서는 “북한 당국자들이 앉아있다는 인상”이라면서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검찰에 대해 “국익 관련 수사는 신중해야 한다. 검찰이 변했다”며 “신념 같은 것은 안보이고 터미네이터를 보는 것 같다. 목표를 향해 그냥 돌진만 하고, 통제 불능 상태와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국회에 대해서는 “지난번 국정원 개혁문제로 시끌시끌했는데 제가 받은 인상은 북한 당국자들이 국회에 앉아 있다. 북한 김정은의 책상 앞에 (국정원 개혁안을) 갖다 놓겠다는 것”이라고 불만을 쏟아냈다.
김 전 원장의 이 같은 발언이 알려지자 네티즌들은 “선거철이 왔나보네. 새누리당이 이번에도 색깔론과 새로운 북풍을 일으켜 선거에서 승리하고 싶은 모양이구나. 근데 잘 되려나?” (김백****), “바로 이런 사람을 극우 파시스트라고 말한다. 헌법에 따르지 않고 자신의 아집을 고집하는 대단히 위험한 자이고, 폭력을 정당화 하는 사람이다. 사법부를 무시하고 법치를 등한시한다. 위법을 정당화 하지 않는가?”(세상****), “ 그럴 수는 있다. 침투가능성에 대한 인정은 한다. 하지만 있지도 않는 죄 만들고 선거에 개입하고 그러다 걸리면 개인적 일탈이라고 하는 것도 침투한 놈들 소행은 아니지않나? 국민을 위해 봉사하고 안전을 지키라는 조직이 국민을 위협해서는 안 될 듯하다”(050****), “증거 조작해놓고 간첩이라니. 인혁당도 그렇게 조작해서 엄한 사람들을 죽였지”(환생****)라며 비판했다.
- 위기에 몰린 검찰.. ‘시간 끌기에 보복성 수사?’
- 국정원 ‘윗선’ 못 밝히고 수사 마무리?
- [SNS] 위조문서 증거철회.. “檢이 국보법 처벌 받아야”
- 자살 소동, ‘국정원 정치’가 빚은 타살
- [SNS] 국정원 직원 ‘억울해’ 자살기도.. “유우성·가려는?”
- ‘모르쇠’ 일관하는 검찰과 국정원.. 기막힌 ‘바보놀이’
- 국정원 앞 검찰총장 ‘갈팡질팡’.. 원인은?
- “국정원, 中 문서 위조 지난해 9월부터 알고 있었다”
- 간첩사건 中 문서, 허위조작 증거 포착
- 檢, ‘간첩 조작사건’ 조사에서 수사로 전환
- 검찰 “특정 세력, 사실과 다른 내용 흘려” 국정원에 경고
- 中정부 “한국 검찰이 제출한 증거 조작됐다”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