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日 군 위안부 강제동원’ 입증 사료 공개

은폐 위해 묻은 문서 공사 중 발견.. 한중 공동연구 탄력 기대

일본의 아베 정권이 일제시대 군 위안부에 강제성이 없었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한국여성들을 ‘국가총동원령’에 따라 집단으로 중국으로 끌고 가 위안부로 동원됐음을 뒷받침하는 사료를 공개했다. 이 가운데 6건은 한국인 군 위안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향후 큰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24일 지린성기록보관소(이하 기록보관소)는 최근 조사정리가 끝난 일본군 위안부 관련 사료 25건을 한국 언론에 공개했다.

그 동안 일본군이 한반도와 중국에서 군위안부를 강제동원했다는 것은 피해자 진술 등을 통해 간접 확인됐지만, 군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입증할 수 있는 당시 사료가 발견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이날 공개된 사료 중 헤이룽장 헤이허에 사는 일본인이 일본 니가타현에 사는 지인에게 보낸 한 편지에는 “위안소 병력은 단지 20명 정도이며 전부 선인(조선인)으로 국가총동원법에 묶여 온 것”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

해당 편지는 1941년 일본군 베이안 지방검열부가 만든 ‘우정검열월보’에 실려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일제가 군사기밀 등 민감한 내용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실시한 편지·전보 검열제도로 당시 관동군헌병대에 정기적으로 보고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기록보관소의 자오위제(趙玉潔) 연구위원은 “‘병력’이라는 표현이 생소하긴 하지만 문맥상 군위안부를 지칭한 것으로 봐야한다”고 설명했다.

ⓒ 뉴스Y
ⓒ 뉴스Y

또한 화중파견헌병대의 ‘난징헌병대 치안회복 상황보고서’에는 ‘중국 우후 지역에 있는 109명의 일본군 위안부 중 한국인은 36명이었다’는 표현이 담겨 있었으며, 또 다른 상황보고서에는 ‘위안부 수가 부족해 현지에서 위안부를 모집해야 한다’는 내용이 적혀있었다.

이밖에 ’한국인 군위안부를 ‘특수위안부’(성노예 위안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로 표기한 사료와 일본군이 공금으로 군위안부를 모집했음을 나타내주는 만주 중앙은행의 수기자료도 공개됐다.

무잔이(穆占一) 기록보관소 부소장은 “일제는 (패망 직전) 미처 불태우지 못했던 공문서 등을 한꺼번에 모아 땅속에 묻어버렸다”며 “공사과정에서 우연히 이 문서들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이신철 연구교수는 <연합뉴스>에 “일본군은 위안부 등의 반인륜적 전쟁범죄를 은폐하려 (관련 문서를) 폐기하려다 실패하자 땅에 묻었다. 이 문서들이 보관된 중국 기록보관소는 일본군 전쟁범죄의 무덤과 같은 곳”이라 밝혔다.

이날 중국 일본의 위안부 강제동원 사료를 공개함에 따라 한중 공동연구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린성기록보관소가 소장한 일제 문서는 총 10만 권에 달하는데 모두 옛 만주국 당시 국무원, 경제부, 민생부, 농업부, 군사부, 관동군헌병대, 지린성공서(公暑), 지린교섭총국, 중앙은행, 건축국 등 65개 기관이 남긴 기록물이다.

한국정부도 이 문서의 존재사실을 확인하고 이미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정부에 열람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