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무대서 위안부 문제 명시적 거론은 처음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25차 유엔 인권이사회 기조연설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특히 윤 장관은 영어 연설에서 ‘위안부(comfort women)’라고 지칭하면서 강경하게 발언하며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한 고노담화 수정하려는 일본을 압박하고 나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윤 장관은 현지시간 5일 유엔 인권이사회 기조연설에서 이 같이 말했다. 국제무대 연설에서 우리 외교부 장관이 위안부 문제를 명시적으로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윤 장관은 영어로 진행된 이날 유엔 인권이사회 연설에서 일본군 위안부를 ‘comfort women(위안부)’이라 지칭하면서 ‘일본 제국주의 군에 의해 징집된 전쟁 성노예 희생자(victims of wartime sexual slavery drafted by the Japanese imperial armed forces)’라고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우리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면서 강제성을 띠는 의미인 ‘징집(draft)’이란 단어를 쓴 것은 드문 일로 일본군 위안부 강제 연행을 부정하는 일본의 태도를 염두에 둔 것으로 분석된다.
나아가 윤 장관은 이날 유엔 인권이사회 연설의 절반가량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할애하면서 이 문제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특정국의 이름을 거론하며 비판하는 것이 관례적으로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 정부의 대일 대응 수위가 한 차원 더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윤 장관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회피하면서도 여성 성폭력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하는 일본에 대해서도 ‘이중적 태도’(double standard)라고 직설적으로 비난했다.
실제 윤 장관은 연설문에서 일본의 고노담화 수정 움직임과 관련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인권을 짓밟는 것”(insult to the honor and dignity), “반인도·인륜적 처사”, “지난 20년간 유엔 인권 메커니즘이 일본 정부에 수차례 요청한 것에 대한 정면 도전”(it is a direct challenge to consistent recommendations to Japan made by various UN mechanisms for the last 20 years)이라면서 직설적으로 비판했다.
윤 장관의 이같은 강력 발언의 배경에는 아베 총리가 고노담화 수정을 통해 한일관계의 기본 토대를 무너트리려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정부는 일본의 고노담화 재검토 움직임에 대해 “역사인식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우리 정부의 대응이 높아짐에 따라 과거사 부정 행태를 보여 온 일본이 어떤 식으로 반응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