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장관, 유엔 인권이사회서 위안부 문제 제기

8년 만에 인권이사회 참석해 정부 입장 표명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문제제기할 예정이다.

<뉴시스>에 따르면 외교부는 4일 “윤 장관은 현지시간으로 이날부터 6일까지 제네바를 방문해 제25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 국제 인권 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과 기여 의지를 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장관이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하는 것은 2006년 당시 반기문 외교부 장관 이후 8년 만이다.

윤 장관은 현지시간 5일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세계인권상황과 인권이사회의 지난 1년간 활동을 비롯해 이번 인권이사회에 제출된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 보고서 등에 대한 평가와 입장을 밝힐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윤 장관은 무력분쟁 아래서 성폭력 문제 대처를 위한 유엔 및 국제사회의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류 보편적 인권 이슈이자, 과거뿐만 아닌 오늘의 문제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 외교부
ⓒ 외교부

당초 정부는 박근혜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맞춰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의에 신동익 다자외교조정관을 보내 일본군위안부의 인권 문제 등을 제기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출범 2년차를 맞은 박근혜 정부의 인권정책을 유엔에서 천명할 기회라는 점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한 일본의 태도 변화가 없다고 판단해 윤 장관이 참석하는 것을 결정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윤 장관의 인권이사회 참석은 박근혜정부의 인권 증진 정책을 천명하고, COI 보고서 발표를 계기로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강조하면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의 시급성을 대외적으로 부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3·1절 기념사를 통해 일본의 ‘고노담화’ 수정 움직임을 강력 히 비판했다. 하지만 일본은 오히려 문부과학성 부대신이 ‘일본군 위안부는 거짓말·사실 날조’라는 망언까지 펴는 등 과거사 도발을 이어가고 있다.

한편 윤 장관은 이번 인권이사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나비 필레이 유엔 인권최고대표와 피터 마우러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총재 등도 면담할 예정이다. 이번 인권이사회 기간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해 약 50여개국에서 외교장관이 참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