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해산심판에서 민사소송법 준용
통합진보당이 정당해산심판 및 정당활동정지 가처분 사건과 관련해 제기한 헌법소원이 모두 기각됐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헌법재판소는 27일 진보당이 헌재 심판절차와 관련해 헌재법 제40조 1항과 제57조에 대해 제기한 헌법소원에 대해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모두 합헌이라고 결정했다.
헌재법 40조 1항은 헌재의 심판절차와 관련, 헌법재판의 성질에 반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민사소송법을 준용하고 탄핵심판은 형사소송법을 준용하며, 권한쟁의심판 및 헌법소원심판의 경우에는 행정소송법을 함께 준용한다고 정하고 있다.
또한 57조는 정당해산심판 청구와 관련해 헌재가 종국결정 선고 시까지 정당 활동을 정지하는 가처분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헌재는 “민소법 준용조항은 불충분한 절차진행규정을 보완해 심판절차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것”이라며 “민소법을 준용하도록 한 것이 불합리하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또 “헌법재판의 성질에 반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만 민소법을 준용하도록 범위를 한정하고 있어 청구인의 재판청구권을 침해하지도 않는다”고 판단했다.
헌재는 정당 활동 가처분 조항에 대해서도 “헌법 질서의 유지·수호를 위해 필요성이 인정된다”며 “신중하고 엄격한 심사가 이뤄지며 종국결정 시까지 임시적인 조치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기본권 제한이 크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이수 재판관은 “큰 틀에서는 민소법을 준용하되 위법수집증거나 임의성이 의심되는 자백에 대해서는 증거능력을 배제한 형사소송법 규정을 준용해야 한다”는 별개 의견을 냈다.
특히 이러한 헌재의 판단으로 6·4지방선거 전에 진보당에 대한 정당 활동정지 가처분 결정이 수용될 가능성이 있어, 자칫 지방선거에 후보자를 낼 수 없는 상황까지 우려된다.
헌재의 결정에 대해 진보당 법률대리인단의 공보담당을 맡은 이재화 변호사는 “이번 결정은 헌재가 지난해 제출한 개정안 의견과도 다르고 사건의 성질을 보면 형소법 준용이 맞다”며 유감을 표했다.
이 변호사는 “민소법을 준용하더라도 재판부가 엄격하게 증거를 채택하기 바라며 가처분도 실질적으로 본안판결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곧바로 결론을 내리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당 활동금지 가처분 규정과 관련해서도 “가처분을 할 수 있도록 한 헌법재판소법이 합헌이라고 할지라도 가처분은 실질적으로 본안판결과 같은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한다”며 “본안판결과 같이 6인의 위헌의견이 있지 않은 한 가처분결정을 하여서는 안 된다”고 촉구했다.
앞서 진보당 대리인단은 지난달 “정당해산심판은 탄핵심판과 유사한데도 헌재가 민사소송법을 준용하기로 해 피청구인의 기본권을 침해했다”며 헌법소원을 냈다.
또 “헌법에는 정당활동정지 가처분과 관련한 명시적인 위임이 없는데도 헌재법 57조에 헌재가 가처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위헌”이라고 주장했다.
- 헌재, 재판 중인 ‘RO 수사자료 요구’ 위법성 논란
- 법무부, 진보당 삭발‧단식 투쟁 ‘종북세력’ 입증
- 헌재, 정부에 ‘진보당 해산청구 자료’ 보완 명령
- 美언론 “朴 정당해산, 국정원 스캔들 덮기 위한 전략”
- 헌법학자 46% 통합진보당 ‘유지’, 33%는 ‘해산’
- [시론/서해성] 정당해산은 민주주의 해산이다
- 노회찬 “朴, 지지율 47% 나오면 물러날 건가”
- 이승만-조봉암을 통해 본 ‘통진당 해산안’
- 진보당 해산심판, 역사학계 “권위주의 정권 부활시도”
- 조국 “진보당 평가, 수사당국 아닌 다음 선거 유권자 몫”
- 이정희 “정당해산, 불법부정선거 덮으려는 의도”
- 헌재, 헌정 사상 최초 위헌정당해산 심판 절차 돌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