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우리나라 정치인 대체 뭐하나”
미국 하원의원 3명이 존 케리 국무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최근 의회를 통과한 ‘일본군 위안부법’ 이행을 촉구했다.
29일 (현지시간) <연합뉴스>에 따르면, 스콧 가렛(공화·뉴저지), 빌 패스크렐(민주·뉴저지), 애덤 쉬프(민주·캘리포니아) 의원은 이날 공동 명의로 보낸 서한에서 “케리 장관은 일본 정부가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의 위안부 운영에 대해 사죄할 것을 독려하라”고 밝혔다.
지역구 내에 군 위안부 추모시설을 설치한 이들 의원은 “2차대전 당시 비양심적인 ‘성노예’ 운영을 부정하고 있는 일본 정부의 행태는 반드시 시정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들 의원은 “생존해있는 희생자들은 너무 오랜기간 마땅히 누려야할 존엄과 마음의 평화를 부정당해왔다”며 “케리 장관은 일본 정부로 하여금 기본 인권을 위반한 비극적 사실을 인정하도록 독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아시아를 통틀어 20만명이 넘는 여성들이 2차대전 당시 강제로 ‘성노예’로 끌려간 것으로 추산된다”며 “14세 소녀들까지 포함된 이 여성들은 ‘군 위안부’로 알려져있다”고 밝혔다.
이어 “일제는 순진무구한 여성들을 거짓명분으로 꾀어내거나 심지어 납치한 뒤 일본군을 위해 강제로 매춘행위를 하도록 했다”며 “이제 80세를 넘어선 생존자들은 일본 정부로부터 공식 사과를 들어야 마땅하다”고 덧붙였다.
세 의원의 서한 발송은 미국 의회 내에서 점차 커지고 있는 과거사 관련 대(對)일본 비판기류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지금까지 ‘위안부법’ 통과를 주도한 마이크 혼다(민주·캘리포니아) 의원과 스티브 이스라엘(민주·뉴욕) 의원 등 대표적 지한파 의원들 외에는 공개적으로 일본을 비판하는 의원들이 많지 않았다.
특히 특정정파를 떠나 초당적으로 법안이행을 촉구했다는 점에서 케리 장관이 실제 행동에 나서도록 하는 압박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연합>은 전했다.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저런 게 사람을 위한, 민생을 위한 정치인의 자세다. 유권자들 자기편으로 끌어내려는 속셈도 없다고 말은 못하겠지만 적어도 밥그릇 싸움이나 하는 한국 국회의원들보다 낫다”(robo****), “좋은 흐름이다. 물론 이권이 얽히긴 하지만 일본이 몰리고 있는 것도 사실이니 조금만 더 죄자”(arke****), “대한민국의 정의를 지켜주기 위해 애쓰는 저 미국의원 세분이 대한민국 삼백의원보다 낫네요 감사합니다”(henr****),
“우리나라 국회의원이 저렇게 못하는 것은 나라를 위한 정치가 아니라 돈을 벌기 위해 국회의원이 되기 때문이다”(lyhj****), “우리나라 국회의원들 자냐”(smil****), “가해자 국가의 피가 흐르는 일본인 정치인은 저렇게 힘쓰는데 피해자 국가의 피가 흐르는 우리나라 정치인은 뭐하는 겁니까. 외국에서 보면 참 한심해 보이겠다”(mnls****) 등의 반응을 보이며 우리 국회의원들을 질타했다.
한편, 일본유신회의 국회대책 필두 부위원장인 나카노 마사시 참의원이 일제 군 ‘위안부’를 매춘부와 동일시하는 발언을 해 파문이 일고 있다.
29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나카노 마사시 참의원은 “지금도 한국 여성 5만명이 성 산업에서 일하고 있다고 (한국 정부가) 말하고 있다”며 “중국에서는 100달러, 200달러에 ‘어서 데리고 가세요’라고 한다”고 말했다.
일본 NHK 회장 발언에 이은 나카노 의원의 잇단 ‘망언’은 한국과 중국에 지금도 성매매 산업에 종사하는 여성이 있는 데 유독 수십 년이 지난 ‘위안부’ 문제를 계속 언급하느냐는 취지의 발언으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