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반갑긴 한데 혹 다른 걸 원할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일본 정부의 ‘위안부 결의안’ 준수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긴 2014회계연도 세출법안에 서명했다.
이번 세출법안에 포함된 ‘위안부 결의안’ 준수 촉구에 관한 법안은 일본계 3세인 마이크 혼다 의원의 주도로 통과했다.
세부적으로는 ‘2007년 7월30일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H. Res. 121)을 주목하고 국무부 장관은 일본 정부가 이 결의안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독려할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함께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종국위안부 강제동원과 관련해 일본 정부의 공식사과를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앞서 미 상원은 전날 전체회의에서 위안부 결의안 준수 내용이 담긴 ‘2014년 미국 행정부 통합세출법안’을 찬성 72표, 반대 26표로 통과시켰다.
이 같은 소식에 온라인에서는 다양한 반응들이 이어지고 있다. 네티즌 ‘SM***’는 “미국 대통령까지 위안부 문제 촉구결의안 친필사인까지 했는데 한국의 박정부는 교학사 통해서 위안부문제 왜곡한 교과서 채택에 사인해주시고 할머니들 항의방문하게 만드시고 한심하기 짝이 없는 정부와 새누리당, 친일파들 반성해라”라고 꼬집었다.
반면, 네티즌 ‘JA**’는 “법적 구속력이나 실질적 영향력은 전무한 결의안이며, 결과적으로 한국이 뭔가 더 큰 것을 희생하고 양보하기를 바라는 미국의 생색내기용 결의안 입니다”라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이밖에도 “사과도 남의 나라가 받아줘야 받는 불편한 현실. 그렇게 해서라도 사과나 제대로 했으면 하지만 그나마도 일본이 제대로 사과를 할지는 의문이네”(*빈), “이리되면 박근혜 비난한 뉴욕타임즈에 이어 위안부 서명한 오바마도 ‘종북좌빨’이 되는 건가”(bgh****), “위안부문제를 상정하고 주도 했던 혼다의원을 일본극우세력들이 위협한다던데 혼다의원도 같이 지켜 줍시다”(레**),
“법적 구속력이야 당연히 없지. 하지만 일본인들은 한없이 쪽팔리게 된 거지”(빠빠**), “오바마의 일본 길들이기”(아틀******), “좋아할 것 없다. 오바마가 돈 안 들이고 저런 법안 서명 한 번 하고나면 나중에 이권을 놓고 일본과 협상할 때 카드로 쓸 뿐이다. 다시 말해 미국은 그저 한일 관계, 역사 문제 등을 자국 이익을 위해 이용하는 것뿐이다”(시대**), “오바마 결정이 그나마 반갑긴 한데 혹 다른 걸 원할지...”(마**)라는 등의 댓글이 올라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