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구속․박근혜 퇴진 외쳐야 할 때”
28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국정원 시국회의’가 25일 오후 5시 서울 청계광장에서 제30차 범국민촛불대회를 열고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사건 규탄과 진상 규명을 위해 특별검사제를 도입하자고 거듭 촉구했다.
이날 촛불대회에 모인 시민들은 “특검을 실시하라”, “책임자를 처벌하라”, “남재준 국정원장, 황교안 법무부 장관,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해임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유권자 권리를 소중히 생각하는 모임(유권소)’의 조희원씨는 “종박무죄 반박유죄 세월을 1년 동안 살아왔다. 그 동안 30번의 촛불을 들며 반성을 해야 되는 시간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국정원 특검을 외치는 1년 동안 박근혜 대통령이 사죄했나? 새로운 구호가 붙여져야 한다. 바로 이명박 구속 박근혜 퇴진이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도 특검을 포기하고 이런 가운데 겨울 내내 촛불 들며 언제까지 (주최 측은) 박근혜 사과 이야기를 하고 국정원 특검을 이야기 할 겁니까”라며 “지금이라도 촛불 시민들의 동력을 모으기 위해 이명박 구속 이야기 하고 박근혜 사퇴를 이야기 하라”고 외쳐 시민들의 뜨거운 환호를 받았다.
김준성 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 정책실장은 “막장드라마와 박근혜 정부의 공통점은 ‘출생의 비밀’이 있다는 것이다. 이걸 밝혀야 박근혜 정부를 끌어 내릴 수 있다”며 “이들의 아킬레스 건은 부정선거다. 공격할 가장 좋은 무기는 특검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장대현 한국진보연대 집행위원장은 “지방선거가 열릴 6월에도 부정선거를 하려고 하는데 또 당할 것인가? 정신 차려야 한다”며 “국정원 특검으로 진상규명 없이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 선거가 된다.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촛불대회에서는 사회 문제에 대한 다양한 발언이 잇따랐다. 민주언론시민연합 조영수 활동가는 “2010년에도 문제가 됐었던 KBS 수신료 인상에 대해 시민들이 예전처럼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며 “언론이 지겹다는 내성이 생겨서 그런게 아닐까 하지만 이명박 정부부터 이어진 언론장악 해결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관심과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최영준 내란음모대책위 공동집행위원장은 “내란음모 재판이 진행된 지난 6개월 동안 국정원이 결정적 증거라는 녹취록을 공개한 것을 보면 왜곡과 거짓으로 가득하다”며 “‘변호인’ 영화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 현 정부 하에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게 안타깝고 분노스럽다”고 토로했다.
비가 온 뒤 기온이 떨어져 추운 날씨였음에도 시민들은 핫팩 등으로 추위를 달래며 침묵하는 정부에 대해 성토했다.
서대문구에서 온 이모씨(30대)는 ‘go발뉴스’에 “명절을 앞두고 목소리를 내기 위해 나왔다. 이대로 가다간 특검이고 뭐고 묻힐 것 같아 화가 난다”며 “더 이상 국민의 목소리를 좌시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두 아이와 함께 마포구에서 온 김모씨(40대)는 “반드시 짚고 가야될 문제라 생각한다. 지금은 사건을 덮기 위해 조용한 침묵이 지속되지만 곧 진실이 드러날 것”이라며 “내 아이에게 더 낫고 행복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작지만 최선을 다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촛불대회에는 약 500여명(경찰추산)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시국회의는 설 연휴를 맞아 오는 29일 서울역에서 국정원 대선개입을 알리는 선전전을 진행하고, 다음달 6일 오후 7시 31차 시국촛불대회를 열 계획이다.
- ‘죽음의 시대’.. “학살 정권 끝장내야” 외침
- 민주화 투사들 “3·15 능가 관권 부정선거, 朴 퇴진” 촉구
- ‘누리꾼의 역습’ 광장서 “박근혜 퇴진” 촉구
- 故 이남종 씨 영결식.. “1인 독주, 朴대통령 사죄하라”
- 촛불 든 해외동포.. “부정선거로 안녕 못해”
- 안녕치 못한 국민들..촛불 밝혀 시대의 안부를 묻다
- [포토] 경찰, 촛불집회서 “수배자를 찾아라”
- ‘부정선거 1년’ 다시 모인 촛불.. “朴, 반드시 사퇴해야”
- [포토] ‘부정선거 1년’ 서울광장 가득 메운 1만5천 촛불
- 美 글로벌 보이스 “韓 가스통 할배, 촛불 시위 방해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