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교학사 철회 학교 특별조사 착수

네티즌 “교학사 선정과정 외압부터 조사해야”

교육부가 고교 한국사 교과서 재지정 절차에 들어간 전북 전주 상산고 등 선정 결정을 번복한 학교들에 대해 특별조사에 착수해 파장이 일고 있다.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교육부 고위 관계자는 “정당한 절차를 밟아 교과서를 선정하고서 부당한 외부 압력에 의해 선정된 교과서를 바꾸지는 않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선정 결정을 변경한 학교 20여개교에 조사원을 보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학교는 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를 통해 교과서 선정을 변경한 곳으로 알려진 학교들이다.

지난해 말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했다가 철회한 학교는 15개교 안팎에 달한다.

이 관계자는 “이번 특별조사는 ‘교학사 구하기’를 위해 나선 것이 아니라 일선 학교의 선택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변경 과정에서 어떤 외압이 있었는지 사실 파악에 주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사 결과 명백하게 부당한 압력에 의해 기존 교과서 채택 결정이 철회된 것으로 나타나면 이후 어떻게 할지는 법률 자문을 통해 결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SBS'
ⓒ'SBS'

교학사 채택의 비판 여론이 거세자 교과서 선정 절차를 다시 진행하겠다고 밝힌 상산고에도 특별조사에 착수한다.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교육부 관계자는 “당초 상산고가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교학사를 선정했으나 갑자기 번복해 특별조사를 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교육부의 특별조사 시점을 두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은 반발하고 있다. 교육부가 ‘교학사 살리기’에 발 벗고 나섰다는 것.

전교조 관계자는 “현재 관할 교육청에서 이와 관련된 문제를 조사하고 있는 와중에 교육부까지 가세하는 것은 선례 자체가 없다”며 “결국 교학사 채택을 위한 압력으로 밖에 볼 수 없는 상황”이라고 <머투>에 비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교학사 채택 철회와 상관없이 상산고의 교과서 의사결정 과정 전반을 살펴보는 것”이라면서 “이번 사태로 학생과 학부모의 혼란이 큰 만큼 재발방지 대책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대놓고 강요하기”라며 비난을 퍼부었다. 한 네티즌(부엉***)은 “대놓고 강요하네.. 매국노들”이라고 꼬집었고, 또 다른 네티즌(추천**)은 “올바른 역사 따위를 가르치느니 차라리 권력의 개가 되겠다는 각오가 엿보이네요”라고 비난했다.

이 밖에도 “나라가 정말 유신시대로 돌아가는구나. 잘못된 걸 제자리로 돌리는데 정부가 나서서 제자리도 돌리는 걸 잘못된 길로 다시 돌려 버리네”(소금**), “야당과 시민사회는 나서서 서남수를 끌어내려라”(흐린빗***),

“교학사 선정과정부터 외압이 있었는지 조사하라”(KJu**), “교육부에 묻는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일본군 따라다녔고 일제의 침략이 아닌 한반도 진출이냐? 지금이 일제시대 아닌가 의심이 가네!”(엽기**), “부당한 외압? 재학생, 동문, 학부모들이 반대하는 게 부당한 외압이야?”(장삼**), “이름 바꿔서 문부과학성으로”(ori***) 등의 분노 섞인 글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