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문여고생, ‘go발뉴스’에 “교학사 채택 사실 알려 달라”
친일․독재를 미화해 역사 왜곡 비판을 받고 있는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를 올해 교재로 채택한 고교들이 구성원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교과서를 직접 배우는 학생은 물론 학부모, 교사, 동문회 등까지 나서는 모양새다. 특정 교과서 선정을 반대하며 학생과 학부모 등이 들고일어나는 일은 처음이다. 벌써 교학사 교과서 채택을 취소하는 학교도 나오고 있다.
<한겨레>에 따르면 경기도 파주 운정고는 2일 역사 교사 등으로 이뤄진 역사교과협의회를 열어 교학사 교과서 선정을 취소하고 다른 출판사의 교과서로 바꾸기로 했다. 운정고 이순덕 교감은 “학생과 학부모, 지역사회로부터 ‘1%도 선택받지 못한 교과서를 왜 선정했느냐’며 많은 항의와 우려가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한 경북 성주고도 이날 다른 교과서로 바꾸기로 했고, 경기도 분당영덕여고·여주제일고 등도 재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교학사 교과서 선정 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경기도 수원 동우여고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공모 교사는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교과서 선정을 놓고 두달 동안 우리학교 역사 교사들과 관리자들은 어느 한 사람의 눈치를 보아야만 했다”고 주장했다.
공 교사는 “분명히 더 큰 누군가의 외압을 받고 있는 학교장으로부터 몇 차례의 간절한 부탁이 있었다”며 “교사들은 사립학교가 갖고 있는 인간관계적 약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요구대로 교학사를 올리긴 했으나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3순위로 해서 학교운영위원회에 추천하여 올렸다. 하지만 결과는 학교운영위에서마저 3순위로 올린 교학사를 채택하게 됐다”고 밝혔다.
동우여고 한 학생은 교학사 교과서 채택에 항의하는 대자보를 붙이기도 했다. 해당 학생은 대자보에 “동우여고, 동원고의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채택은 저희가 ‘안녕하지 못하다’는 대답을 하게끔 저희를 깨우쳐줬다”며 “역사를 가장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가르쳐야 할 학교가 왜 이런 선택을 했는지 의문을 감출 수 없습니다”고 개탄했다.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한 것으로 알려진 서울 창문여고의 한 학생은 ‘go발뉴스’ 공식 트위터(@GObalnews)에 “친일 독재미화 교과서를 채택한 사실을 알려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이 학생은 “저희학교가 교학사 역사교과서를 채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더 많은 분들이 알 수 있도록 하고 싶은데 방법을 몰라 이렇게 무작정 부탁드립니다”라고 밝혔다.
이에 네티즌들은 “서울 강북구 창문여고는 친일독재 미화 교학사 역사교과서 채택을 철회하라!”(@seo****), “서울창문여고에서 교학사 역사교과서를 선정했답니다. 보수적인 재단에 지역 교육의원도 꼴보수에 전교조 교사가 한 명도 없는 사립여고입니다. 주변에 창문여고 학부모가 계시면 알려주세요”(@lif****), “막을 수 있습니다. 학부모 학생 교사 동문들이 하나 되어 한 목소리를 낼 때 취소됩니다”(@772****)라며 응원했다.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반발을 교육계에서는 ‘비상식적’인 학교의 결정에 대한 ‘상식’의 저항이라 보고 있다. 친일·독재 미화에 오류투성이로 밝혀진 교학사 교과서를 교재로 선택한 학교의 비합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반발이라는 것이다.
참교육학부모회 박범이 회장은 “‘불량 교과서’로 수업을 받아야 하는 학생 당사자나, 자기 자녀의 문제인 학부모 입장에서는 학교의 비합리적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며 “보통 학부모들은 학교 문제에 대해 자녀 걱정 때문에 문제제기하기 쉽지 않은데, 이번에는 강하게 반발하는 모습이 여느 때와 다르다”고 <한겨레>에 말했다.
비판의 화살은 교육부에게도 향했다. 애초부터 수많은 문제제기가 있었음에도 ‘교학사 교과서 지키기’식 검정과정을 운영해 온 교육부가 이번 일을 자초했다는 것이다. 한국역사연구회 하일식 회장은 “이념 논쟁 이전에 교학사 교과서에 오류가 가득 차 있다는 것을 학계에서 분석해 알렸는데도, 이런 교과서를 선택한 교장이나 재단은 도저히 교육자라고 볼 수가 없다. 특히 이런 교과서를 최종 승인한 교육부의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