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1%가 있다는게 놀라워.. 하 수상할 뿐”
일선 고등학교에서 내년 사용할 한국사 교과서로 우편향 등 논란을 빚었던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한 비율이 1% 안팎으로 800개교 중 9개교가 채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와 교육당국에 따르면,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이 교육부에 교과서 채택률 자료를 요구한 결과 지난 30일 기준 약 800개 학교 중 9개교가 교학사 교과서를 선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전국 고교는 30일 한국사 교과서를 선정했으며 최종 집계결과는 내년 1월 6일에 나올 예정이다.
보수 성향의 교과서를 채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점쳐졌던 경상도 지역에서도 교학사 교과서 채택률을 높지 않았다.
부산시교육청이 시내 고교 중 새로운 교과서를 채택한 학교 121곳을 상대로 잠정 집계한 결과, 교학서 교과서를 선택한 곳은 2개교였다.
이처럼 교학사 교과서 채택률이 낮은 것은, 많은 학교가 우편향 등의 논란을 빚었던 교과서를 선정하는 데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하병수 대변인은 <연합>에 “학교에서 논란이 된 교과서를 채택하게 되면 학생과 학부모가 반발할 수 있다”며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분란을 만들려고 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에 선정된 교과서는 내년 2월 학교 현장에 공급될 예정이다. 그러나 한국사 교과서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앞서 지난 26일 ‘위안부’ 피해자 등 9명은 교학사가 발행하는 한국사 교과서를 고교에 배포해서는 안 된다며 법원에 가처분 신청서를 제출했다. 첫 재판은 내달 7일에 열린다.
한국사 교과서 6종 집필진이 교육부를 상대로 낸 교과서 수정명령 집행정지 신청은 지난 30일 법원에서 기각됐고, 수정명령의 적법성 여부를 가리는 본안 소송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한 네티즌(나라***)은 “1%가 있다는 게 놀랍다.. 교학사 교과서 채택학교 공개하라!”고 꼬집었고, 또 다른 네티즌(bl**)은 “우편향이 아니지~ 친일성향이지”라고 비난했다.
이 밖에도 “신청학교의 지역과 학교이름 공개해라”(칠**), “이런 찌라시 같은 책이 1%씩이나 채택됐다고??”(ash***), “우편향이라.. 세상 어느 나라 우파가 식민지 역사를 미화하고 독재를 미화하냐”(뇌*), “그 1%도 공개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지헌*), “채택하는 학교가 있다는 자체가 이해하기 어렵다. 우리 학생들의 1%라도 ‘위안부가 부대를 따라다녔다’고 기술해대는 저런 친일 사대주의 교과서로 배운다는 사실이 하수상할 뿐”(나의**) 등의 글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