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명령 거쳤는데.. “위안부, 일본군 따라다녀”
친일·독재 미화 등으로 논란을 빚었던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가 수정·보완을 마친 최종본에서도 사실을 잘못 적시한 중대한 오류들을 그대로 되풀이한 것으로 드러나 ‘부실 교과서’라는 비난이 거세다.
12일 <경향신문>은 이같은 소식과 함께 최종 승인 때까지 제대로 거르지 못한 수정심의회의 졸속·자질 문제로 불똥이 튀고 있다고 전했다.
교학사 교과서 6단원 332쪽엔 ‘박정희 정부의 압축성장 정책과 그 열매’라는 소제목하에 ‘1981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 1만달러와 수출 100억달러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였다. 이 목표는 4년을 앞당겨 1977년에 모두 달성되었다’는 문장이 나온다. 그러나 1977년은 국민소득 1만달러가 아니라 1000달러를 달성한 해이다.
같은 단원 346쪽 ‘북한 인권의 실상과 국제적 공조’ 부분에선 ‘일본에서도 북한인권법이 2006년 공포되었으며, 정식 명칭은 ‘납치 문제 그 밖의 북조선 당국의 인권침해 문제의 대처에 관한 법률’이다.
이 법 역시 북한의 인권상황 개선을 목표로 하여 필요한 제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북한인권법은 일본 의회가 북한에 납치된 일본인 문제 해결을 위해 만든 국내법으로, 이 법에서 제재 대상이 되는 사항은 일본 국민에 대한 인권침해여서 북한 인권 문제와는 거리가 멀다고 <경향>은 전했다.
이 두 가지 사항은 지난 9월 역사 관련 4개 단체가 교학사 교과서를 분석했을 때 지적됐던 부분이다.
당시 현대사 부분을 분석한 이신철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는 “기본적인 사실 오류까지 고치지 않은 것은 교과서로서의 기초적인 덕목을 지키지 않은 것”이라며 “교학사 필자들도 사실 오류는 고치겠다고 했는데 이해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런 결정적인 실수들을 그대로 수용한 수정심의회가 수정·보완사항을 제대로 검토했는지도 의문”이라고 <경향>에 밝혔다.
민주당 ‘역사교과서 친일독재 미화·왜곡 대책위원회’가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연 ‘교학사 역사교과서 최종본 분석 긴급토론회’에서도 “교학사 교과서는 대량 수정·보완에도 불구하고 친일·독재 미화적인 서술과 오류들이 여전하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김태년 의원은 “교학사 교과서에는 위안부가 이동 중인 일본군을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는 사진설명을 실어 위안부 징용의 강제성을 왜곡했지만, 문제가 된 부분은 외면하고 엉뚱하게 ‘조선인 위안부’를 ‘한국인 위안부’로 수정해 교육부의 승인을 받았다”며 “엉뚱한 곳을 고친 교학사도 문제지만, 이런 기망행위를 용인해준 교육부도 문제”라고 말했다.
지난 10월 교학사 교과서의 맞춤법·표기법 등의 무더기 오류 문제를 제기했던 도종환 의원은 “오·탈자 사례 64곳 중 16곳, 비문 사례 36건 중 16건, 띄어쓰기 오류 19곳, 기타 사례 5곳 등이 수정되지 않았다”며 “여전히 부실 교과서”라고 지적했다. ‘영조 말년’을 ‘영조 만년’으로, ‘모양과 질이 조잡하여’로 써야 할 것을 ‘모양과 질이 조합하여’라고 쓴 것 등이다.
도 의원은 “친일적 시각을 담은 용어로 문제가 됐던 ‘의병 토벌’ ‘쌀 수출’ 등은 지적된 쪽에서만 바뀌고 다른 쪽에선 여전히 사용되고 있었으며, 일본의 ‘자본침탈’을 ‘자본진출’로 기술한 부분도 여전히 ‘진출’이나 ‘투자’로까지 표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교학사 교과서는 반민특위를 해산시킨 이승만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하지 말라는 지적에 해당 문장을 아예 지워버려 반민특위와 이승만의 관련성 자체를 서술하지 않고 개악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한편,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저건 교과서가 아니고 SF 소설이구만.”(삼양**), “차라리 일본 후쇼사를 가져다 쓰자”(stea****), “한국에서는 지금 시간이 거꾸로 가고 있으니까 저 말이 맞는 것.”(Lesle*****), “무식 무지 무능한 교육부”(늙은***), “1977년 국민소득 1만달러라. 이건 오류라기보다 의도적인 왜곡같은데. 지적을 받은 사항인데도 안 고치고 그대로 놔둔 것 보면 일본 침탈을 진출이니 투자로 기어이 미화하는 것도 그렇고”(봄날***), “저런 것을 교과서로 승인해준 **들부터 **야 이 나라에 역사와 정의가 바로서는 시작이 된다”(musc****) 등의 분노 섞인 글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