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사, 위안부가 일본군 따라다녀

포털서 퍼온 사진, 원출처는 일본인 자서전

‘위안부’ 운영 시기 축소로 논란을 일으킨 교학사 교과서가 위안부 사진을 실으면서도 설명을 엉터리로 덧붙인 사실이 추가로 드러났다.

2일 김태년 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교학사 교과서의 249페이지 우측상단에 실린 ‘위안부’ 사진에는 “현지 위안부와 달리 조선인 위안부는 전선의 변경으로 일본군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돼 있다.

이는 마치 ‘위안부’가 자의에 의해 일본군을 따라다닌 것처럼 서술한 것이다. 문제의 사진 출처와 관련, 교학사 교과서는 포털사이트 구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김 의원이 확인할 결과 이 사진의 출처는 ‘무라세 모리야스’라는 일본인이 중국전선에서 운전병으로 지낸 경험을 남긴 ‘나의 종군 중국 전선’(1988년 초판발행)이라는 책으로 밝혀졌다.

저자는 이 사진을 1937년 7월부터 1940년 1월까지 운전병으로 복무하며 직접 찍은 사진들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하고 있다.

©'김태년 의원실'
©'김태년 의원실'
교학사 교과서는 ‘위안부’ 운영 시기를 1944년부터라고 잘못 기술했는데 원 출처는 이보다 한참 앞선 시기부터 ‘위안부’가 운영되고 있었다는 것.

또한 교학사 교과서 249쪽 우측 중단에 실린 사진은 포털사이트 ‘다음’을 출처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 사진은 1938년 1월 1일 일본육군 최초로 세워진 양가택(楊家宅)이라는 ‘위안소’의 모습이다.

원 출처는 당시 위안소에서 성병검진을 했던 산부인과 의사 ‘아소 데츠오’가 1937년 11월부터 1941년 4월까지 근무하면서 직접 찍은 사진으로 확인됐다.

해당 사진의 원 출처에는 “위안소 개설 후 머지않아 2월24일 밤 한 명의 위안부가 탈출하고 군공로에 있던 입초한테 붙잡혀서 군의 명령으로 본인(아소)이 그 신병인수를 위해 갔다”고 기술돼 있다.

‘위안부’ 사진의 원 출처는 위안부의 운영 시기를 1930년대부터라고 명시하면서 ‘위안부’가 강제로 동원됐다는 사실을 서술하고 있지만 교학사 교과서는 동일한 사진 인용에도 이런 사실을 외면한 것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교학사 교과서가 얼마나 부실하게 만들어졌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증거”라며 “자료출처만 성실하게 확인했더라도 위안부가 1944년 이후 일부 여성에게 있었던 일이라고 기술하지는 못했을 것”이라면서 교학사 교과서의 검정취소를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