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이어 교학사 ‘대사전’도 역사 왜곡…제주4·3 ‘폭동’ 규정

네티즌 “겁도 없이 역사 바꿔?…교학사 출판물 불매운동 해야”

교학사의 ‘고교 한국사 교과서’가 제주4·3사건을 사실 왜곡해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4월 발간한 ‘한국사 대사전’에도 해당 사건을 ‘폭동’으로 기술했다는 지적이 제기돼 출판물을 둘러싼 역사 논쟁이 뜨겁다.

사단법인 제주4·3연구소와 제주민족예술인총연합, 4·3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도민연대는 13일 성명서를 통해 “4·3 등 역사적 사실을 왜곡한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 검정합격을 취소하고 한국사대사전을 즉각 파기 조치하라”고 촉구했다.

©'교학사'
©'교학사'
이들 단체에 따르면, 한국사 대사전에는 제주4·3사건을 ‘1948년 4월 3일 제주도 전역에서 남조선 노동당 계열의 민간유격대들이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하여 일으킨 폭동사건’이라고 기술됐다.

군경토벌대의 토벌작전과 결과에 대한 설명에는 사살된 폭도 8천명, 포로 7천명, 귀순 2천명 등 무장세력이 약 1만7천명에 달한다고 기록됐다. 이는 무장세력의 숫자가 500명이 넘지 않을 것으로 추정한 정부의 4·3진상조사보고서와도 차이가 있다.

연구소 등 단체들은 “제주도가 온통 빨갱이 섬이어서 무차별 토벌, 학살했으며 이 과정에서 민간인 사상자 3만명이 생긴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니 도민과 유족이 감내하라는 뉘앙스를 풍기고 있다”고 비난하며 한국사대사전의 즉각 파기와 교학사 교과서의 검정 합격 취소를 요구했다.

제주도의회 이석문 교육의원도 “객관적 사실이 기술돼야 할 한국사대사전에서도 4·3에 대한 역사적 은폐와 왜곡이 나타났다”며 “사전이나 교과서가 편향된 시각을 제공하는 것도 문제지만 사실까지 왜곡하는 상황을 좌시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도민 모두가 나서 교과서 불채택 운동을 벌이기 전에 적극적으로 교과서 검정 취소를 촉구하고 한국사대사전 내용이 재검토되도록 도교육청이 나서 교육부에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과서에서 한국사대사전으로 불붙은 ‘역사논쟁’에 네티즌들은 비난을 쏟아냈다. 한 네티즌(크린**)은 “이 나라에서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행위를 하고 민주화를 외치면 좌파, 폭동”이라고 꼬집었고, 또 다른 네티즌(만**)은 “역사왜곡한 일본 비판하지 말라”며 분노했다.

이 밖에도 “좌편향 우편향이 중요한 게 아니라 친일파가 지금도 권력을 잡고 있고 국민들이 그들을 지지하고 있다는 안타까운 현실”(mar***), “역사를 겁도 없이 바꾸려는 범죄”(아**), “교학사 불매운동 해야 한다”(리**), “폭동이라면서 나라에서 보상하나? 이상한 나라네~”(이**), “고딩들이 교학사 불매 운동 해주기를 바랄 뿐”(영**), “교학사 출판물은 이제 안 산다”(리포***), “역사는 개인적 의견이 아니다. 철저한 검증이다. 자신의 생각만으로 바뀐 역사는 일본의 왜곡가 뭐가 다르나”(rlat*****) 등의 비난 의견이 잇따랐다.

한편, 교학사는 기존의 교과서 출판 포기 입장을 철회하고 출판을 강행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교육부가 10월 말까지 진행할 교과서 수정·보완 작업에 교학사 측 오류를 지적했던 역사학계는 교육부가 구성할 전문가협의회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