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왜곡 교학사 교과서 저자, 위안부 서술 잘못 ‘인정’

정대협 “왜곡 기술은 고의적…해당교과서 검정 철회” 요구

얼마 전 한국사 교과서 검증을 통과한 뉴라이트 성향의 교과서(교학사) 저자가 일본군 위안부 서술에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며, 수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3일 <한겨레> 등에 따르면 교과서 중 일제시대 부분을 대표집필한 공주대 이명희 교수(역사교육학)는 “위안부가 여자 정신 근로령에 근거해 동원됐다고 알고 있었다. (실제로 위안부가) 동원된 시점을 1944년부터라고 학생들이 오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수정할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 'go발뉴스'
ⓒ 'go발뉴스'

문제가 된 교학사 교과서에는 “일제는 1944년 여자 정신 근로령을 발표하고 12세에서 40세에까지의 여성들을 침략 전쟁에 동원하였다. 일부 여성들은 중국․동남아 일대․필리핀 등지로 끌려가 일본군 위안부로 희생당하였다”고 쓰여있다.

하지만 이는 1930년대부터 실제 위안부가 동원됐다고 희생자의 증언과 한․일 역사학계 연구를 왜곡한 것이다. 또 이 같은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한 일본정부의 ‘고노 담화’에도 배척된다.

이에 대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도 파악하지 못한 무지의 결과이거나 의도적으로 왜곡한 것”이라며 검정 철회 자체를 요구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1932년부터 일본 육·해·공군에 위안소를 설치했고 조선에서도 연행됐다는 사실이 일본군 문서 등에 나와 있다. 조금만 검색해 봐도 알 수 있는 사실”이라고 비판하며 “위안부 관련 내용을 아예 기술하지 않았다면 중요성을 모르고 있다고 비판할 수 있으나, 왜곡 기술한 것은 고의적이라고 볼 수 있어 더 나쁘다”고 지적했다.

또한 윤 대표는 “교학사 교과서는 1992년에 한국 외교부가 일본 측 문서들을 토대로 발표한 ‘일제하 군대위안부 실태조사 보고서’의 내용조차 무시한 교과서”라면서 왜곡된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 정부의 책임도 제기했다.

정대협은 향후 교학사 교과서 내용을 면밀히 분석해 검정 철회를 요구하고, 정부의 위안부 정책 재점검, 왜곡 교과서 사용을 막는 대국민 캠페인 등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