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29일 중국 심양서 공동토론회 개최…정대협 “만남자체만으로도 의미”
일제강제병합 날로부터 103년 되는 이달 29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와 북측의 ‘조선일본군성노예’ 및 ‘강제련행피해자문제대책위원회’(조대위)가 중국 심양에서 일본군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해외 여성들의 대응활동을 논의하는 만남을 갖게 됐다.
지난 7월 31일, 북측은 정대협측에 문서를 보내, 일제강제병합일인 8월 29일 중국 심양에서 ‘일본군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해외 여성 공동토론회’ 개최를 제안했다.
이에 정대협은 북측 조대위 등과 팩스를 통한 논의를 거듭한 끝에 중국 심양에서 남북여성대표단이 함께 모여 향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해외 여성들의 공동대응 활동들을 논의를 하고, 남북해외여성공동토론회 개최 준비를 위한 실무대표단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하고 추진해왔다.
정대협 측은 남북 여성들이 함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여성연대의 차원에서, 공동 대응해 나갈 사업내용들을 합의하고 결의를 다지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협의 내용에 대해선 아직까진 예측할 수 없다고 전했다.
정대협 관계자는 ‘go발뉴스’에 “당장은 얘기 할 수 있는 게 없다. 어떠한 내용이 논의되고 합의 될지는 우리도 가봐야 알 수 있다”며 “현재는 만남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 2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최선순(87) 할머니가 돌아가신데 대해 “현재 정부가 정부로서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시민단체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지금처럼 국제사회와의 연동을 통해 우리 정부와 일본을 압박하는 여론을 형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한편, 심양에서 개최될 이번 실무대표단회의에 남측에서는 정대협 공동대표 3인을 포함해 한국여성단체연합 김금옥 대표,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여혜숙 대표, 전국여성연대 최진미 집행위원장 등 10명의 대표단이 참석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