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교학사 채택시 학부모․학생 반발 예상”
내년 3월부터 전국 고교에서 사용할 한국사 교과서 선정과 주문완료 시한인 30일을 앞두고 일선 학교 현장에서 교학사 교과서 채택 문제를 둘러싼 압력과 혼탁·잡음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지난 주말 서울시교육청 산하 한 교육지원청에서는 장학사들이 관내 학교의 교감들에게 전화를 걸어 어떤 한국사 교과서를 채택했는지 확인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내 한 고교 역사교사는 <경향신문>에 “지난 26일 오후 3시쯤 학교로 전화가 와서 교과서 1, 2위를 어떤 것으로 채택했느냐라는 문의전화가 걸려왔다”며 “인근의 다른 학교에서도 같은 내용의 전화를 받았다.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겠지만 교육당국에서 채택률을 미리 확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한 서울 서초구의 한 고교에서는 교장이 강남지역 교장회에서 협의했다며 한국사 교과서를 선정할 때 우편향 논란을 빚은 교과서 1종과 좌편향 논란을 빚은 교과서 3종을 뺄 것을 지시해 교사들과 갈등을 빚었다.
용산구의 고교에서도 교장이 교사들에게 교학사와 다른 교과서의 장점을 잘 비교·분석해 선정하라는 식으로 이야기했다가 교학사 교과서를 선정하라는 압력으로 비칠 수 있다며 반발을 샀다.
하지만 교육청과 교육부는 소극적·원론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하라는 압력을 묵인하고 있다는 논란이 이는 이유다.
교육부 관계자는 “공문 사항에 대해서는 민간단체들이기 때문에 어떻게 할 수 없다”며 “12월 중순 다시 각 학교에 공정한 채택이 이뤄질 수 있도록 공문을 보냈고 해당 단체에도 공정한 선정을 위해 협조요청을 했다”고 밝혔다.
교학사 교과서 채택 압력 논란 일고 있지만 정작 학교 현장에서는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하는 학교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하병수 대변인은 “수능에서도 교학사 교과서가 불리하다는 역사학계의 발표가 있었던 만큼 교학사 교과서를 최종 선택한다면 학부모와 학생들의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고 <경향신문>에 밝혔다.
한편 일부 장학사들이 교학사 교과서 채택에 대한 압력을 넣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후진국이라 독재가 불가피한 것이 아니라 독재가 용인되니 후진국이 되는것”(@CBa****), “지금이 일제 강점기인가요?”(@css****), “장학사가 아니라 장악사구먼”(@fre****), “사실이라면 있어서는 안 될 일, 교과서 선정 등 학교 자율성 침해!” (@nam****), “문용린 즉각 물러나라!”(@cha****)라며 서울시교육청을 비판하고 나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