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파업 참가자 전원 직위해제 초강수 대응

네티즌 “국가 기간산업 민영화 절대 반대” 응원

철도노조 총파업에 코레일이 참가자 4,356 전원을 직위 해제 하는 등 초강경 대응에 나섰다.

9일 코레일 측은 전국철도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한 것과 관련, 노조 집행부와 파업에 참가한 4,356명 전원을 직위 해제했다고 밝혔다.

코레일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직위 해제 결정은 파업 사태를 조기에 해결하고, 이번 파업을 불법 파업으로 규정짓고 강경한 대처를 보이겠다는 뜻이다.

앞서 코레일은 “업무복귀 명령에 불응하는 노조원들이 확인되는 대로 직위해제 할 것”을 공언한 바 있다.

<한국일보>에 따르면, 코레일은 노조가 ‘민영화’ 첫 단계로 규정하며 개최를 반대하고 있는 임시이사회를 10일 오전 중 열기로 해 타협 가능성은 더 멀어졌다.

임시이사회는 수서발 KTX를 운영할 신설법인의 자본금을 50억원으로 확정하는 안건을 심의한다.

코레일의 파업 대응 수위는 4년 전보다 더 강하다는 평이다. 2009년 공공기관 선진화를 둘러싸고 대립하던 중 코레일이 단체협약을 해지하자, 노조는 11월 말 파업에 돌입했다. 8일 간 파업이 끝난 후 참가자 전원에 가까운 1만1,588명이 징계를 받았고 169명이 해고됐다.

ⓒ'코레일 회원갤러리'
ⓒ'코레일 회원갤러리'

현재까지 파업에 따른 여행객 불편은 예상보다 적다고 <한국>은 전했다. 코레일은 파업 직후 필수인력 8,416명과 대체인력 6,000여명, 군 대체인력 등을 투입하며 여객과 물류 수송 차질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했다.

필수인력과 대체인력이 우선적으로 투입된 고속철도(KTX)와 수도권 지하철, 통근열차는 정상 운행됐다. 새마을호와 무궁화호는 오후 8시 기준 평시 대비 운행률 75%, 화물열차 47%로 당초 예상보다 11~15% 높았다. 파업 참가율은 37%다.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징계가 두려웠다면 철도노동자들은 결코 나서지 않았을 것”(류**), “나라의 기간산업 지킨다고 철도노동자들 욕본다..화이팅”(바람**), “철도 민영화를 반대하는 파업을 지지합니다”(hw**),

“철도원 여러분들 파업지지합니다. 철도 민영화 꼭 막아주세요”(khc****), “회사 잘 되라고 파업하는 직원들을 징계주는 이상한 현상..”(은빛**), “국가의 기간산업 민영화 절대 반대”(프**), “철도 민영화 안 한다고 약속하더니 지키는 게 뭐냐 도대체? 노조 파업 찬성이다. 당연한 결과”(mo**) 등 민영화 저지를 위한 철도노조 파업을 응원하는 글들이 잇따랐다.

한편, 1~4호선을 운행하는 서울메트로의 서울지하철노조도 사측과 퇴직금 삭감에 따른 보상 등을 둘러싼 이견으로 쟁의찬반 투표를 실시, 찬성률 87.2%로 18일 오전 9시부터 파업에 돌입키로 해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