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의원 65% “철도산업 발전방안은 민영화 정책”

與의원 과반, 철도민영화 ‘찬성’.. 野는 전면 반대

최근 정부가 발표한 ‘철도산업 발전방안’에 대해 여야 의원 68%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는 <매일노동뉴스>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 7~15일까지 여야 국회의원 100명을 대상으로 ‘철도산업 발전방안 관련 국회의원 의견조사’를 벌인 결과다. 조사에는 여당 의원 50명, 야당 의원 50명이 참여했다.

여야 의원 65%는 철도산업 발전방안이 민영화 정책이 아니라는 국토부의 주장에 대해 “철도 민영화 정책”이라고 답했다. 철도산업 발전방안이 철도 민영화 정책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야당 의원의 88%가 동의했다.

여당 의원의 58%는 “민영화 정책이 아니다”고 밝혔지만 상당수(42%)여당 의원들이 “대체로 그렇다”고 응답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4일(현지시간) 프랑스 기업 대표들의 모임인 메데프(‘Mouvement des entreprises de France)에 참석해 연설을 하고 있다. ⓒ 청와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4일(현지시간) 프랑스 기업 대표들의 모임인 메데프(‘Mouvement des entreprises de France)에 참석해 연설을 하고 있다. ⓒ 청와대

앞서 지난 4일 박근혜 대통령은 유럽 순방 당시 프랑스 기업인들을 만난 자리에서 “도시철도 시장개방과 관련, 정부조달협정 비준을 준비하고 있으며, 그렇게 되면 도시철도 분야의 진입장벽도 개선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 직후 정부는 5일 WTO(세계무역기구) 정부조달협정 개정안을 국회에 보고하지 않고 처리했다.

개정된 의정서에 따르면, 이제 WTO 가입국은 일반철도와 도시철도의 설계 조달 건설, 관리 감독 등 정부조달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이번 개정에서 고속철도와 일반철도의 여객, 화물철도 등은 제외됐으나 전문가들은 “철도 민영화를 통해 철도산업의 지분을 시장에 공개한 뒤, 외국자본이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여당 의원들은 “이러한 정부의 계획이 향후 외국자본의 시장 접근으로 공공성의 훼손을 초래할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 62%(31명)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철도산업 발전방안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경쟁체제 도입에 대해서는 여야 의원의 74%가 부정적으로 생각했다. 특히 야당 의원들의 부정적인 인식(98%)이 높게 나타났다. 여당 의원들은 “타당하다”(50%)와 “타당하지 않다(50%)”로 엇갈렸다.

특히 여당 의원 68%(34명)는 수서발KTX 운영회사를 만들면 서비스질이 올라가고 수익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반면 야당 의원 전원은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지역/적자노선의 민간 개방’에 대해서도 새누리당 의원 74%(37명)는 찬성 의견을 보였고, 야당 의원 94%(47명)는 반대 의견을 보였다. 상임위에서는 반대 60%, 찬성 40%로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

한편, 야권과 철도노조 등이 세계무역기구(WTO) 정부조달협정(GPA) 개정안 처리를 둘러싸고 ‘철도 민영화를 위한 사전작업’이라는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철도 민영화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최경림 산업통상자원부 통산차관보는 18일 “이번에 지하철 관계기관이 양허에 포함된 것은 철도차량이나 물자 구매, 선로보수 같은 시설관리 등에서 외국회사들이 입찰에 참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준다는 것이지 기관 자체를 민영화하는 것과는 전혀 별개의 문제”라며 진화에 나섰다.

산업부도 이와 관련해 자료를 내고 “수서발KTX 운영과는 전혀 무관한 사항이며, 해외자본의 참여는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