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이석기녹취록 272곳이상 오류

“구체적으로 준비”→“전쟁을 준비” 이석기 발언 부분 집중 수정

국가정보원이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 등의 내란음모 사건과 관련해 주요 증거인 녹취록에서 녹음파일과 다르게 옮겼다가 뒤늦게 수정한 곳이 무려 272곳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한겨레>가 입수한 국정원의 ‘수사보고(5월12일 녹취록 등)’에 따르면, 5월12일 이른바 ‘서울 합정동 모임’에서 녹음한 내용을 옮긴 62쪽 분량의 녹취록에서 234곳, 그 이틀 전인 5월10일 이른바 ‘곤지암 모임’의 녹음 내용을 옮긴 녹취록에서 38곳 등 녹취록 2개에서만 272곳을 수정해 재판부에 낸 것으로 확인됐다. 낱말뿐만 아니라 구절, 또는 문단에 걸쳐 수정을 하면서, 실제 단어 수로 환산하면 272곳을 훨씬 넘는다.

이는 지난 15일 3차 공판에서 국정원 수사관 문모씨가 “5월10일 모임 녹취록에서 112곳을 고쳤다”고 진술한 수정 건수보다 갑절 이상 많은 것이다.

또 5월10일 모임 녹취록을 주로 수정했다는 진술과 달리, 국정원은 5월12일 합정동 모임 녹취록 가운데 이석기 의원의 발언 내용에 대해 집중적인 수정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 결과 국정원이 수정한 전체 내용 중 이 의원의 발언 내용 수정이 전체의 절반을 넘는 170곳에 이르러, 녹취록 짜깁기 논란 등 증거 능력을 두고 변호인단과 검찰의 뜨거운 공방이 예상된다.

국정원은 기존 녹취록에서 들리지 않는 것으로 표기했던 대목도, 5월12일 합정동 모임 녹취록에서 90여곳, 5월10일 곤지암 모임에서 70여곳 등 모두 160여곳을 추가해 최근 재판부에 냈다.

ⓒ'페이스북(이석기)'
ⓒ'페이스북(이석기)'

이에 대해 국정원은 “수정된 녹취록은 전체 44건 중 4건에 불과하고, 수정된 부분은 전체 70시간 분량 중 극히 일부이며 △전쟁 준비 △혁명 진출 △국가기간시설 파괴 모의 등과 관련된 내용은 여러 차례 등장해 내란음모 혐의 관련 대화 취지나 전체 의미는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정원은 이 의원의 발언 내용 가운데 “구체적으로 준비하자”를 “전쟁을 준비하자”로, “결정을 내보내자”를 “결전을 이루자”로 바꾸는 등 호전적 색채가 진한 문구들로 녹취록에 옮겼다가, 뒤늦게 이를 대거 삭제하고 녹음파일 내용으로 수정했다.

또 5월12일 모임 참가자들이 합정동 종교시설에 모인 것을 놓고, 이들이 결전을 앞두고 마치 “결전 성지”에 모인 것처럼 옮겼다가, 이번에는 단순히 장소를 지칭하는 “절두산 성지”로 바로잡았다.

국정원은 합정동 모임에서 이 의원이 정세 강연을 하면서 “성전 수행”을 촉구하며 전쟁을 선동하는 내용으로 녹취록에 옮겼던 대목도, 이번에 수정하면서 반전 평화를 호소하는 문장으로 고쳤다.

이를 두고 국정원은 “음질 불량, 외부 잡음 등으로 일부 잘못 들은 단어 등에 대해 수정해 제출한 것”이라고 밝혔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