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외교부, 독도 민간인 광고 중단 요구”

외교부 “오히려 적극지원”.. SNS “왜교부냐?”

외교부가 해외 교민들이 자발적으로 추진한 “독도는 우리땅” 이라는 광고 게재 활동을 중단토록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외교부는 이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을 내놨지만 파문이 거세게 일고 있다.

29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정청래 민주당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해외 교민들이 자발적으로 독도를 알리기 위해 추진 중이던 2010년 뉴욕 타임스스퀘어 독도 광고와 2012년 미국 고속도로 독도 광고 등에 대해 외교부가 교민과 광고주들을 만나 광고 게재 중단을 요구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이 입수한 외교부의 ‘독도대응 업무지침’이라는 내부 지침에 따르면, “해외 민간 독도광고는 △독도 영유권 공고화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고 △독도 영유권 근거 강화에 기여하는 바가 없으며 △국제분쟁지역화만 야기하므로 실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교민이나 광고주를 만나 중단토록 설득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또한, 업무지침에는 교민들이 자발적으로 독도 관련 행사를 개최할 때 대사관 회의실이나 문화원 등 공관 부속 건물을 행사장으로 제공하지 말 것과 함께 관련 행사에 고위 대사관 직원이 참석하는 것을 자제하도록 돼 있다고 정 의원은 주장했다.

정 의원은 “국민들의 자발적 독도 광고와 해외 홍보활동까지 외교부가 막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도대체 어느 나라 외교부인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또한 정 의원은 “세계지도 5개 가운데 1개만이 독도를 단독표기하거나 한국령으로 기재하고 있고 절반에 가까운 지도는 독도와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표기)를 병기하거나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외교부'
ⓒ'외교부'

이에 대해 외교부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외교부는 이날 별도의 입장을 통해 “외교부가 해외에서 독도 광고에 대해 교민과 광고주들을 만나 광고 게재 중단을 요구하는 등 민간차원의 자발적인 독도홍보 활동을 막았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외교부 내부지침에도 교민이나 광고주를 만나 광고 게재를 중단토록 설득한다거나 독도관련 행사시 공관 내 장소 제공 또는 직원 참석을 금지하는 내용은 없다”며 “오히려 민간 차원의 독도 해외 홍보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다만 활동 지원을 위한 상호 협의 과정에서 해외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홍보의 경우에는 자칫 외국인에게 독도가 분쟁지역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가능성도 있음을 고려하도록 설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의 이같은 해명에도 SNS 등에서는 “누구의 외교부냐”며 비난을 쏟아냈다. 한 트위터리안(into******)은 “외교부의 독도 민간해외 광고 중단 논란, 온전히 우리 것인 독도를 위해 외교부가 믿을 만한 움직임을 보여줬다면 시민들이 애써 돈 들여 광고를 기획하진 않았을 겁니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근다더니 현 정부의 일본을 향한 정책들이 다 그렇게 느껴집니다”고 일침을 가했다.

또 다른 트위터리안(hee****)은 “세금을 쓰며 독도를 지켜도 시원찮을 판에 자발적 독도홍보를 외교부가 막은 건가요? NLL에 발언에도 악을 쓰더니 실질적 영토인 독도에 이런 식으로 하면서 애국을 얘기하나요?”라고 비난했다.

이 밖에도 “누구의 정부냐?”(skan******), “참 믿어지지 않은 일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ssa****), “왜교부니까”(아*), “웃고 갑니다.. 이게 나라여?”(거시**), “미운 짓만 골라하나. 없느니만 못한 외교부 걍 없애라”(1718****), “요즘 외교부 하는 행동만 보면 진심 웃겨”(rkdf****) 등의 비난 글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