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건강 뒤 숨겨진 정부의 진짜 속내.. 결국 세금징수?
우선 비교를 위해 굳이 이야기하자면, 제가 1990년 미국에 처음 왔을 때 담배 가격이 1달러 99센트 정도였습니다. 그 이후로 세금 논쟁이 여기서도 붙었고, 그러면서 담배 가격에 세금이 붙기 시작했습니다. 담배 가격 자체는 그다지 오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각 주 정부에서 건강보험 재정에 흡연자들이 끼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연구 결과들을 내놓기 시작했고, 이에 대해 담배회사들이 소송으로 대응했습니다.
결과는 대부분은 개인 단위로는 패소, 그러나 주정부 단위로는 승소 쪽으로 기울었고, 담배 회사들이 거액의 배상을 하는 경우도 왕왕 생겼습니다. 그런 것들은 담배값 자체의 인상요인이 됐지만, 그 뒤로 흡연자들을 더 힘들게 만든 건 매년 붙어가는 주정부 단위의 세금이었습니다.
지금 담배가격은 갑당 소매로는 거의 10달러 선까지 올랐습니다. 문제의 핵심은 이겁니다. 그래도 피울 사람은 피운다는 겁니다. 물론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의 숫자도 크게 줄었습니다. 그것은 담배 가격이 올라서 그렇다고 보이진 않습니다. 적어도 제 주위에서는 담배를 피울 수 있는 환경의 제약이 커진 것이 담배 소비가 줄어든 직접적인 이유였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은 캘리포니아나 바로 옆의 아이다호주, 오리건주로 건너갈 일이 있으면 담배를 사가지고 옵니다. 워싱턴주의 경계선에 사는 흡연자들은 아주 급할 때가 아니라면 아마 바로 옆 동네로 쇼핑갈 일이 있을 때 담배를 사 가지고 옵니다. 이렇다보니 주 세수엔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습니다.
인디언 보호구역 내에서 파는 면세담배를 구입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이 한 가지 나은 점이 있다면, 담배세 인상으로 인한 세금 사용 내역을 완전히 투명할 정도로 공개하고 있다는 점일 겁니다. 주정부 웹사이트에 가면 세금이 어떤 식으로 얼마가 쓰였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어떤 사용 내역을 정했는지가 낱낱이 공개됩니다.
즉, 세수 증대 효과는 정부가 예측했던 것보다는 훨씬 적을 겁니다. 게다가 절연, 금연을 유도하는 효과? 글쎄요. 제가 이곳에서 겪어본 바에 의하면 담배값의 인상은 결국 기름값의 인상과 같은 것이어서, 초기에만 충격이 크지 점점 거기에 익숙해져 가는 사람들도 늘 겁니다.
사실 한국의 이 이상한 담배값 인상은, 담배갑에 그려진 금연 홍보 그림이나 문구를 축소하는데서 그 진짜 목적이 극대화되어 드러난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사람들은 이러면서도 국민들의 금연을 유도하고 건강을 증진하겠다는 표면적이 목표가 진짜인지에 대해 당연히 의구심을 갖고 있을 겁니다.
국민들 중에서 제일 없는 사람들이 세금의 원천이 되고, 정당한 1차 분배, 즉 고용을 통한 임금지급으로 경제적인 책임을 져야 할 기업들은 유보금을 쌓아놓고 있으면서도 어렵다고 징징대고 있습니다. 총수들이 잡혀 있으니 풀어줘야 투자가 된다는, 법은 만인에게 평등하지 않아야 한다는 식의 위헌의 소지가 분명한 주장들을 하고 있죠.
또 보수언론들은 이를 받아서 대대적으로 언론을 끌고 가고, 법인세를 올려 세수를 늘이겠다 하면 반발하고, 부자 증세를 이야기하면 빨갱이가 되어 버리는 매우 비정상적인 상황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비정상의 정상화’라는 왜곡의 쉴드를 통해 정상적으로까지 비쳐지는 사회의 굴절된 자화상. 담배값 인상이라는 그림에서 봐야 할 핵심은 바로 이 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시애틀에서...
- 1월 1일, 안 오른 담배·면세담배 찾느라 난리법석
- 국민 건강 위해 담뱃값 올린 정부.. 술 규제는 풀어
- 2015년, 내 월급 빼고는 ‘몽땅’ 오른다
- 정부, ‘국민건강 위한다’더니 담배 공급량 늘린다?
- 내년부터 PC방·카페서도 금연.. 전자 담배도 금지
- ‘국민건강이 목적’이라더니.. 흡연 경고 그림 삭제?
- 내년 담뱃값 인상 혜택, 흡연자 기대 못미쳐
- 담뱃값 인상 앞서 사재기 단속 강화.. 소비자 ‘부글’
- 野, 담뱃세 인상폭 2천원 합의 반발..“법안소위 불참”
- 정의화, 예산부수법안에 담뱃세 포함.. 야당 반발
- 정부, 확정 안 된 담뱃세 인상분으로 내년 예산 편성
- 국회예산처 “담뱃값 인상, 저소득층 부담 가중” 우려
- 비흡연 女 폐암 증가세.. 어릴 적 간접흡연이 원인?
- “담뱃값에 과도한 개별소비세 부과 위헌 소지 多”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