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까지 나서 전방위적 압박.. 결국 압박에 길들여지는 것”
이 의원은 지난달 29일 서울시에 국회의원 요구자료 명목으로 공문을 보냈다. 해당 공문은 이 과장의 노조경력을 포함해 ▶당적활동 내역 ▶서울동부시립병원 근무 경력 및 직위 등을 확인해 달라는 내용이었다.
특히 이 과장이 계약직이지만 공무원 신분으로 당원 및 당대의원 신분을 가질 수 있는 것인지, 공무원법 위반이 아닌지에 대한 검토 의견을 달라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원은 또한 이 병원의 김경일 원장에 대해서도 같은 내용을 확인해달라고 서울시에 요청했다. 서울시는 현재 ‘검토 중’이라고 밝힌 채 이 의원 쪽에 답변을 보내지 않았다.
국정원 사찰과 보수 언론의 비방 보도에 이은 국회의원의 신상정보 요청에 이보라 과장은 “매우 당황스럽다”는 입장이다.
이 과장은 1일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오늘 아침에 병원 직원에게서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이 (신상정보 공식요청) 공문을 보냈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이 과장은 “해당 공문에 노조경력이나 당원 활동이 공무원법에 위반되는 것 아니냐, 계약직이지만 계약직도 ‘공공성’을 지닌다며 이 또한 (공무원법에) 위반 되는거 아니냐는 질의가 있었는데, (나는) 공무원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의 자료 요청 내용이 사실관계와 다르다는 지적이다.
이 씨는 이어 “국회의원이 한 개인을, 누구를 꼭 찍어 직장에 신상정보 공식 요청서를 보낼 수 있다는 것을 오늘 처음 알았다”며 “국민의 대표, 국민의 심부름꾼을 자처하는 국회의원이 개인에게 이런 것도 요구할 수 있다니 저는 그저 (안타깝다)”라며 말문을 흐렸다.
세월호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며 46일간 단식농성을 벌인 김영오씨의 주치의를 맡았다는 이유만으로 맹목적 비방하는 일부 보수 언론에 대해서는 쓴소리를 했다.
이 과장은 지난달 29일 <조선일보>가 ‘김영오 주치의는 전 통합진보당 대의원’이라며 자신의 페이스북 사진까지 거론한 것에 대해 “황당하고, 개인적인 상처”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정원과 국회의원 그리고 일부 보수 일간지까지 이렇게 다 나서서 괴롭히고 압박 하는게 어이없다”며 “결국 이런 압박을 통해 길들여지라는 것 아니겠냐”고 꼬집었다. 이 과장은 2012년 통합진보당 분당 과정에서 탈당했다.
한편 이 씨의 신상정보 공개 요청한 이노근 의원의 해명을 듣고자 여러 차례 전화를 걸었으나 의원실 관계자는 “외부 회의 중이라 현재 자리에 없다. 내일 전화해라”는 답변만 남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