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특위 野 의원들 “사고초기 급변침 나타나지 않아”

세월호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야당 의원들은 6일 '국정조사 중간 결산 브리핑' 을 통해 "청와대와 해경 상황실이 양자간 100통화 이상 이루어지는 등 실제 컨트롤 타워가 청와대였음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어 야당 의원들은 "청와대는 숫자 보고, 동영상 요구 등만 하였지 실제 구조과정에서 아무 역할을 못했다"며 "극히 부실한 컨트롤 타워였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또 "사고 초동 대처에서 중대본부장인 안전행정부 장관은 구조 방식조차 모를 정도로 유명무실 했고, 수습 본부인 해수부는 뒷짐을 지고 있었음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 go발뉴스
ⓒ go발뉴스

야당 의원들의 국정조사 중간 결산 브리핑에 따르면 해수부 장관과 해경청장의 구조헬기 사용이 사실로 드러났고, 실제 초기구조작업에 참여한 123정, 해경항공, 해경 상황실은 VTS와 교신조차 하지 않아 상황파악도 하지 않고 투입해 주먹구구식 대응으로 인명구조에 실패했다고 야당 의원들은 전했다.

진도VTS는 CCTV 증거인멸, 제주 VTS는 진도VTS와 교신하지 않았음에도 교신한 것처럼 변조한 것으로 확인됐고, 해수부와 안행부는 초기 상황보고서를 수정 변조했음이 확인됐다.

해경은 전화로 구조를 요청한 학생 5명 연락처를 확보하고도 아무조치 하지 않았고, 초기 전원구조라는 잘못된 정보를 전파해 골든타임을 놓쳤음이 드러났다.

세월호 최종 복원된 항적도에 따르면 사고 직전 세월호는 29초간 10도를 변침한 것으로 나와 '급속한 변침'은 나타나지 않았고, 오히려 급속한 변침은 사고 이후에서나 나타나 급속한 변침에 따른 화물쏠림이라는 사고 원인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경기교육청의 사실확인 없는 '전원구조' 메시지는 해경과 경찰간 무전 내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야당 의원들은 전했다.

한편, 청와대는 국조특위에서 요청한 자료 205건중 단 7건만을 제출한 상태다.

* 이 기사는 인터넷 뉴스 신문고(http://www.shinmoongo.net/sub_read.html?uid=59995)에도 동시 게재 되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