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 부정평가가 긍정평가 앞서.. ‘잘못된 인사’가 요인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사퇴 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수행 부정 평가율이 긍정 평가율을 넘어서는 조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20일 <한국갤럽>의 6월 셋째 주 정례 여론조사에 따르면, 박 대통령이 대통령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는 응답은 43%, 잘못 수행하고 있다는 응답은 48%였다. ‘잘하고 있다’는 답은 지난 주 대비 4%가 떨어졌고 ‘잘못하고 있다’는 답은 전주 대비 5%가 올라 취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는 세월호 참사 이후 크게 올랐고, 문 후보자 논란 이후 다시 한 번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올해 5월 1주에 41%, 5월 2주 42%로 오른 데 이어 지난 주에는 다시 43%를 기록했다.
‘잘못하고 있다’고 답한 사람들이 이유로 든 것은 ‘검증되지 않은 잘못된 인사’가 39%로 가장 높게 나와 결국 문 후보자를 둘러싼 인사문제가 이번 직무 긍정-부정률 역전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그다음으로는 소통 미흡 11%, 세월호 사고 수습 미흡 10% 순이었다.
또 ‘문 내정자가 신임 국무총리로 적합한지’를 묻는 질문에서 ‘적합하다’고 답한 경우는 겨우 9%에 지나지 않았다. ‘적합하지 않다’는 대답은 64%였다. 특히 박 대통령 직무 긍정 평가자, 새누리당 지지자, 5060세대 등 박 대통령 기존 지지층에서도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50%를 넘었다.
정당지지율은 새누리당 42%, 새정치민주연합 31%, 통합진보당 3%, 정의당 3%를 기록했다. 새누리당 지지도는 지방선거 직전인 5월 4주부터 42%에 머물고 있으나, 새정치민주연합은 창당 이후 최저치(5월 1주 23%)에서 벗어나 6주째 오름세를 유지했다.
한편, 지난 17일 <리얼미터>의 일간 정례조사에서도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42.7%, 부정평가가 50.2%를 기록한 바 있다.
이번 <한국갤럽> 조사는 전국 성인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지난 17~19일 전화조사원 면접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6%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