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위안부 발언 사과드린다”

임명동의안 제출 하루 앞두고 사과.. 네티즌 “사과로 끝날 일 아냐”

문창극 국무총리 지명자가 박근혜 대통령의 총리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의 국회 제출을 하루 앞두고 논란이 되고 있는 자신의 과거 발언들과 칼럼 내용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문 지명자는 15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교회 강연에서 지적된 식민사관과 우편향 논란에 대해 “쏟아지는 비판에 당혹스러웠다”며 “표현의 미숙함이 이같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민족이 게으르다는 것은 자신의 얘기가 아니며 강연은 교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며 “일본에 대한 역사인식은 국민들과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위안부는 반 인륜적 범죄행위”라며 “위안부발언으로 상처받으신 모든분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또 언론인 재직 시절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자신의 칼럼에 대해서도 “유족들과 국민들께 불편한 감정을 끼쳐드려 송구스럽다”고 사과했다.

문 지명자는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저의 칼럼은 모두 언론인 시절, 언론인의 (신분으로) 한 일”이라며 “이제 공직을 맡게 된다면 그에 맞는 역할과 몸가짐을 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 KBS
ⓒ KBS

앞서 문 지명자는 지난 4월 서울대 강의에서 “일본으로부터 위안부 문제 사과를 받을 필요가 없다. 우리나라는 예전과는 다르게 선진국 반열에 올랐기 때문에 굳이 일본의 사과를 받아들일 정도로 나약하지 않은 국가가 됐다”고 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판을 받아왔다.

<중앙일보> 주필이던 지난 2005년에는 ‘나라의 위신을 지켜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일본에 더 이상 우리 입으로 과거문제를 말하지 않는 게 좋겠다”며 “이미 끝난 배상문제는 더 이상 거론하지 않는 것이 당당한 외교”라면서 일본군 위안부 배상요구를 반대하기도 했다.

또한 그는 2009년 5월 노 전 대통령 서거 직후에는 ‘공인의 죽음’이란 칼럼을 통해 “그의 행동은 적절치 못했다. 그 점이 그의 장례절차나 사후 문제에도 반영돼야 했다”면서 국민장을 반대하는 주장을 폈다.

문 지명자의 사과에 네티즌들은 “결국 문창극 사과, 새누리당 내부 반란표 진압, 청문회 모르쇠로 진행, 표결로 통과, 총리임명 수순을 밟는구나”(@mur****), “문창극의 사과가 진심이 되려면 발언파문이 공개됐을 때 바로 했어야 하는 거다. 사과도 누군가의 지시로 했겠지. 더 볼 필요 없다”(@sky****), “사과 왜 하나? 총리되려고? 당신의 언어의 뿌리가 정신이라서 안 된다는 거다. 우리나라에 있다는 1%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지만 박근혜가 대통령이 된 지금 하느님의 뜻은 실체를 알게 하라는 것이 아닌가 싶다. 뼛속까지 친일인 집단들!”(@pig****), “진심이란 게 있을까? 사과한다고 될 수준을 넘었던데. 총리 한번 하겠다고 쇼 하네”(@fhq****)라며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