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노조 “학생들 생사 다투는데.. 상식 이하 행위”
길환영 KBS 사장이 세월호 사고 4일째인 지난달 19일 사고해역 인근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다음날 행정안전부 송영철 국장의 ‘기념촬영’ 파문이 일자 직원들을 입단속 시켰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KBS노동조합은 27일 발간된 특보에서 “사고 나흘째 수행단을 이끌고 생방송 페리를 방문한 길환영 사장이 ‘이왕 온 김에 모두 사진 한번 찍자’라고 말했다”며 “이에 생방송을 마치고 선내에서 휴식을 취하던 방송요원들이 가장 먼저 불려 나왔고, 국장급 인사가 휴대전화로 사장을 중심으로 15명가량이 도열한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냈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어 “길환영 사장은 ‘다른 스탭들도 다 오라고 하지’라며 또다시 사람들을 불러 모았고, 이번에는 30여 명이 모였다”고 전했다.
노조는 “그들이 페리 선상에서 두 차례 촬영 포즈를 취하는 바로 앞 200m 전방에서는 꽃다운 어린 학생들을 포함해 죄 없는 300여 명이 침몰한 세월호 속에 갇혀 생사를 넘나들고 있었다”며 “재난방송을 주관하는 공영방송의 수장이 대규모 참사 현장을 방문할 때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지 등에 대한 최소한의 철학도 갖추지 못한 상식 이하의 행위”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다음날 기념사진 논란으로 정부 고위관계자가 즉각 직위해제되고 고위 공직자들의 부적절한 언행이 국민적 비난을 사자 갑자기 쉬쉬하는 분위기로 바뀌었다고 한 관계자가 전했다”며 “조합이 다수의 증언이 일치함에 따라 당시 촬영된 단체 사진을 확보하려 하자 이를 눈치챈 사측이 참석자들을 입단속 시키고 증거를 인멸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KBS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사진 촬영은 사장이 현장 중계팀들을 격려하고 현장을 떠나려 할 때 주변의 권유로 시작됐으며, 직원들이 자연스럽게 휴대전화로 촬영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KBS측은 노조의 “사진 촬영 현장은 사고지점으로부터 200m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당시 중계차를 실은 페리는 높은 파도 때문에 주변 항구로 피항해 있던 상태로 구조현장과는 상당히 떨어져 있었고, 피해자 가족들과의 접촉도 이뤄질 수 없는 장소였다”고 해명했다.
- KBS 이사회, 길환영 사장 해임안 상정
- 길환영 사장, 국민이 낸 수신료로 개인입장 광고
- KBS, 브라질 월드컵 중계방송 포기.. 스포츠국 간부 사퇴
- 언론학자들 “길환영 퇴진·정권 언론통제 중단” 성명
- [SNS] 길환영 ‘사퇴 거부’에 “BH, 버티라 지시?”
- [SNS] 길환영 “KBS 모처럼 신뢰받고 있다” 주장
- 길환영 사장 “사퇴 얘기 적절치 않다” 사퇴 거부
- [SNS] 출근 저지 당한 길환영 KBS 사장 기자회견 취소
- 김시곤, ‘국장직 사퇴 청와대의 직접적 압력’ 폭로
- [SNS] KBS보도본부 부장단 보직사퇴.. ‘길환영 사퇴’ 요구
- KBS기자협회 “길환영 사장 퇴진 안하면 제작 거부”
- 국가개조? 진정성 있다면 KBS부터 개조해라
- 김시곤 결국 ‘사임’.. 길환영, ‘진실 보도 최선 다할 것?’
- KBS 길환영 “임금구조 개선, 노조 때문에 어렵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