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해경, 사고 초기 주변 수색 제대로 안 해”
안산 단원고 학생으로 추정되는 시신이 세월호 침몰 해역으로부터 2km 넘게 떨어진 곳에서 발견돼 시신 유실에 대한 우려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노컷뉴스>에 따르면, 동거차도 주민 이 모 씨는 30일 오후 2시 25분쯤 세월호 침몰 해역에서 약 2.4km 떨어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동거차도 앞 해상에서 단원고 여학생으로 추정되는 시신 1구를 수습, 민관군 합동구조팀에 인계했다.
이는 지금까지 확인된 희생자 중 사고 지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해역에서 수습된 시신이다.
당시 이 씨는 기름 방제 작업을 위해 수심 30m 깊이에 있던 닻을 올리다 시신을 발견했다.
합동구조팀은 사고 해역 기준으로 반경 11km 내에 시신 유실 방지선을 배치했지만 수색이 장기화되고 사고 해역의 물살이 워낙 빨라 시신이 휩쓸려 간 것으로 보인다.
또 사고 지점 서북쪽으로 13km 떨어진 바다에서 세월호 구명정 3개 등이 발견돼 시신 유실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동거차도 주민들은 해경이 사고 초기 주변 섬 수색을 제대로 하지 않아 이런 일이 발생했다고 입을 모았다.
동거차도의 한 주민은 <노컷>에 “사고 초기에 해경이 큰 배를 이용해 섬 주변을 수색했지만 고무보트로 구석구석을 뒤지지는 않았다”며 “사고해역 주변 수역과 물길을 가장 많이 아는 건 섬 주민들인데 수색에 도움이 될까 물었지만 해경은 ‘주변에서 빨리 나가라’는 답만 되풀이 했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실종자 가족들은 마지막까지 피붙이를 찾지 못할까 전전긍긍하고 있는 가운데, 해경이 수중탐색은 물론 주변 해역 탐색에도 소극적이었다는 증언이 나오면서 해경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 세월호 참사로 드러난 ‘한국 해경의 실체’
- ‘노무현 매뉴얼’ 2800권 폐기, 세월호 참사 키웠다
- 뉴욕타임즈에 국가를 고발하고자 하니, 우리를 고소하라
- “네 오빠여서 정말 행복했다.. 사랑해 내 동생”
- “언딘만 세월호 구조 자격 있다” 거짓말 들통
- <연합뉴스>, 세월호 유가족 기자회견문 ‘수정’ 해프닝
- “세월호 보도를 통제하라!” 정부 내부 문건 논란
- 구조에 무능한 정부, 보도 통제에는 ‘발군’
- 사고 석달 전 靑에 청해진 운영실태 등 민원 접수돼
- 안행부, 세월호 합동분향소 시·군·구 설치 제외 논란
- 표창원 “지금은 ‘세월호’ 모금 반대한다”
- 국민촛불 “세월호 구조자 0명.. 박근혜가 책임져라”
- “안보실, 재난 컨트롤타워” 김장수 과거 발언 논란
- ‘사상 최고’ 朴 지지율, 세월호 참사 무능으로 대폭락
- 세월호 참사 책임에서 빠져있는 朴
- “세월호 사고 당일 구조대 고작 16명 투입”
- 국정원, ‘세월호’ 전문가 인터뷰 통제 의혹 ‘일파만파’
- 새누리 권은희, ‘세월호 가족 중 선동꾼있다?’ 파문
- BBC “진도 세월호 구조 작업 너무 느리다” 지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