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세월호 유가족 기자회견문 ‘수정’ 해프닝

대책위 착오 해명에도 불신 여전.. 네티즌 “씁쓸한 현실”

<연합뉴스>가 세월호 사고 유가족 대표 기자회견문 일부 표현을 바꿔 보도했다는 논란이 일었지만 유가족 측 착오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연합뉴스>가 세월호 참사 보도 과정에서 국민적 신뢰를 잃어버렸다는 점을 방증하는 것이어서 향후 보도에 대한 불공정 시비가 우려된다.

29일 세월호 사고 단원고 유가족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김병권 대표는 안산 와스타디움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정확한 사고경위 및 사고 발생의 진상규명을 정식으로 요청했다. 이어 정부에 더 이상 변명 없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 달라고 촉구했다.

김 대표는 기자회견문을 낭독하며 “업무성과와 밥그릇 싸움으로 집단이기주의로 똘똘 뭉친 권력층과 선박관계자들, 아이들을 지켜주지 못했으면서 아이를 찾으려고 허둥대는 학부모들에게 어떤 지원이나 대안을 제시하지 않은 정부 및 관계기관 관계자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은 각종 언론을 통해 보도됐고, <연합뉴스>는 대책위의 기자회견문 전문을 올렸다. 하지만 김 대표가 기자회견문에는 사태의 책임을 져야할 당사자로 ‘정부 및 관계기관 관계자’라 표현했지만 <연합뉴스>가 올린 기자회견문에는 ‘선생님 그리고 교육부 관계자’로 돼 있어 <연합뉴스>가 고의적으로 해당 표현을 바꾼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 됐다.

더욱이 <연합뉴스>의 해당 보도를 다른 많은 언론들이 받아쓰면서 논란은 더욱 커졌다.

ⓒ 연합뉴스 기사 화면 캡쳐
ⓒ 연합뉴스 기사 화면 캡쳐

이에 <연합뉴스>는 30일 오전 <유가족 대책위원회 기자회견문>기사에 대책위가 언론에 제공한 기자회견문 사진을 올리며 ‘조작’ 논란을 해명했다.

<연합>은 “대책위가 기자회견에서 ‘선생님 그리고 교육부 관계자’를 ‘정부 및 관계기관 관계자들’로 바꿔 낭독했다”며 “이에 대해 문의하자 대책위 측은 “기자회견에서 잘못 읽은 것이고 기자회견문이 맞다”고 설명했으나, 30일 오전 문제가 된 문구가 ‘정부 및 관계기관 관계자들’로 수정되지 않고 배포된 사실이 확인됐다며 수정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또 <유족대책위 “착오로 기자회견문 수정않고 배포”>라는 기사에서 대책위 김병권 대표의 말을 빌려 “<연합뉴스>에 회견문을 가감 없이 전문으로 실어줄 것을 요청했는데 이 과정에서 유족대책위의 착오로 잘못된 전문이 나갔다”며 “유족 측 부탁을 들어 전문을 보도해 준 연합뉴스가 ‘의도적으로 왜곡했다’는 오해를 사게 해 죄송하다고 밝혀왔다”고 전했다.

하지만 네티즌들은 “유가족 측 실수가 있어 연합뉴스 관련기사는 삭제 했습니다. 그러나 사실과 다른 연합뉴스의 받아쓰기와 왜곡 기사는 근절되어야 하며 연 300억 혈세 지급 중단 생각에는 변함없습니다”(@kor****), “유가족 대책위 쪽도 뒤늦게 수정한다고 밝혔다고 하고요. 여하튼 연합뉴스가 여러모로 신뢰를 잃었군요. 씁쓸한 현실입니다”(@Bna****), “유가족 답변을 들어봐야 정확히 알 수 있겠지만, 바뀐 기자회견 내용을 감안했을 때 연합뉴스 측 주장에 별로 신뢰는 안 감. 유가족들이 최초 회견문에서 선생님에게 책임을 물라고 썼다? 글쎄올시다”(@jet****)라며 여전히 <연합뉴스>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고 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