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민 사과없이 공무원만 질타.. 네티즌 “선장과 뭐가 달라”
정부와 청와대가 진도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 소재가 박근혜 대통령으로 향하는 걸 막기위해 전전긍긍하는 모양새다.
<뷰스앤뉴스>에 따르면 청와대 관계자는 23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청와대 안보실은 통일-안보-국방 분야 컨트롤타워다. 자연재해 컨트롤타워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법령으로 보면 재해상황이 터졌을 때 중대본이 (컨트롤타워가) 맞다”고 덧붙였다. 안전행정부장관이 책임을 맡고 있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가 컨트롤타워라며 청와대는 이번 사고 수습에서 책임이 없다고 선을 긋는 의미로 풀이된다.
박근혜 대통령 역시 21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공무원들에 대한 불신이 너무 컸다”면서 “자리보전을 위해 눈치만 보는 공무원들은 이 정부에서 반드시 퇴출시킬 것”이라 질타했지만, 정작 대통령 자신의 잘못에 대한 성찰은 빠져있었다. 사태에 최종 책임자 입장이 아니라 잘못한 아랫사람들을 심판자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더욱이 사고 8일째가 되도록 박 대통령은 대국민 사과조차 하지 않고 있다. 대신 정홍원 국무총리가 22일 “정부가 초기 대응과정에서 혼선을 빚고 피해가족들을 배려한 충분한 조치가 이뤄지지 못한 점에 대해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이는 지난 1993년 서해 페리호 참사 때 당시 김영삼 대통령이 사고 발발 이틀 만에 대국민 사과를 한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또 ‘이번 사고에 대해 대통령이 공무원만 질책할 뿐 사과가 없다’는 지적에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은 22일 “사과나 유감 표명을 해야 할 게 있으면 해야겠지만 지금이 어느 시점인지 생각하기 바란다”면서 “구조를 기다리는 가족이 있고, 상황이 계속되는데 유감 표명이나 사과를 한다면 매분 매초에 하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이런 정부와 청와대의 박 대통령 감싸기에 역사학자 전우용 씨는 트위터에 (@histopian) “이런 모습은 과거 일본 군국주의자들의 천황을 대하는 태도와 유사”하다고 꼬집었다.
전 씨는 “과거 일본 군국주의자들은 천황을 ‘현인신(現人神)’이라 불렀습니다. 지금 한국인 일부는 대통령의 아버지를 ‘반인반신’이라 부릅니다. 최고 통치자를 '신성불가침'의 자리에 모셔 두고 아랫것들만 탓한다는 점에서, 둘은 매우 흡사합니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천황을 신으로 받들어 모심으로써 일본인들은 ‘아니요’라고 말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돼 버렸다. 그게 오늘의 비극을 낳았다”는 종전 뒤 일본 사회 일각에서 나온 반성을 전하며 “하지만 원자폭탄도, 지도자를 신격화하는 의식을 완전히 부수진 못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도 “대통령이 국민 편에 서서 무능한 정부 관리들을 질책한다”며 감격하는 사람들이 꽤 있더군요. 이런 사람들이 있는 한, 어떤 정부 관리도 ‘아니요’라는 말을 못합니다. 나라의 비극은, ‘아니요’란 말을 못하는 데에서 시작합니다“라고 비판했다.
파워트위터리안 레인메이커(@mettayoon)는 “박근혜는 제 손으로 조각한 정부를 질타하는가? 그 이름도 박근혜 정부다. 정부가 무능하고 콘트롤 타워가 부재한 것이 누구의 책임인가. 최종인사권자의 책임이다. 침몰한다고 배를 버린 선장이나 무능하다고 정부를 나무래는 자나 비겁하고 비루하기는 매한가지다”하고 힐난했다.
네티즌들도 “책임 소재를 엄중히 가려야 하겠지만, 그에 앞서 국정수반으로서 이번 사태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을 통감하고 있습니다. 뼈를 깎는 각오로 다시 시작할 것입니다.” 대통령의 발언은 이렇게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내가 너무 미개한가?”(@cho****), “세월호 대참사 8일째 무한 책임을 져야할 박근혜 대통령, 정홍원 총리, 강병규(안전행정부)ㆍ이주영(해양수산부)ㆍ서남수(교육부) 장관 등 어느 한명도 가족들에게 진심으로 사죄한 사람은 없고 도망칠 궁리만 하고 있는 듯합니다. 선장과 무엇이 다른가요?”(@seo****), “박근혜, ‘자리 보전을 위해 눈치만 보는 공무원들은 반드시 퇴출시킬 것’ 공은 자신에게 책임은 남에게 ”(@ksi****)라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