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차원 검찰총장 ‘찍어내기 의혹’ 더 커져
국가정보원, 서울 서초구청, 청와대 등의 관계자에 이어 경찰도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아들로 지목된 채모군(12)의 개인정보를 무단조회한 정황이 포착되며 정권 차원에서 ‘채 총장 찍어내기’ 시도가 있었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21일 <경향신문>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조기룡 부장검사)는 지난해 6월 말쯤 채군의 주민등록번호와 주소지 등 개인정보가 경찰 내부 전산망에서 조회된 사실을 확인해 수사를 진행 중이라고 20일 밝혔다. 해당 정보조회는 서울 강남지역 모 경찰서 산하 지구대 사무실에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경찰 전산망 로그기록을 추적해 해당 정보를 조회한 현직 경찰관 ㄱ씨를 지난 19일 불러 조사했다. ㄱ씨는 검찰에서 “다른 사람의 부탁을 받아 개인정보를 조회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ㄱ씨의 진술과 휴대전화 통화기록 분석 등을 통해 ㄱ씨에게 정보조회를 부탁한 윗선을 추적하고 있다. ㄱ씨는 해당 지구대에서 순찰업무 등을 맡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지난해 6월11일 채군의 가족관계등록부를 무단조회한 정황을 잡고 서초구청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검찰은 서초구청 실무자에게 정보조회를 요청한 당사자로 지목된 조이제 서초구청 행정지원국장(54)과 조 국장의 윗선으로 지목된 청와대 총무비서관실 조오영 행정관(55)을 수차례 소환해 조사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계속되는 진술 번복과 두 사람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으로 수사는 제대로 진척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경향>은 전했다. 이후 검찰은 국정원 정보관 송모씨가 유영환 강남교육지원청장을 통해 채군의 학적부를 조회했다고 보고 두 사람을 소환 조사했다.
검찰의 수사 진행과정에서 채군 정보조회에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개입돼 있다는 의혹도 꾸준히 제기돼왔다. 지난해 11월 서초구청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이 이뤄질 당시 대상에는 임모 감사담당관이 포함됐다. 임 담당관은 곽상도 전 청와대 민정수석, 이중희 민정비서관과 함께 검찰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다.
경찰이 채군의 개인정보를 조회한 정황이 나오면서 두달 가까이 공전됐던 검찰 수사도 활기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고 <경향>은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