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검토만 하지말고 통신요금 대폭 인하해야”
미래창조과학부가 불법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동통신사에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는 대신 과징금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이용자의 통신요금을 감면해주는 제도 도입을 검토할 방침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12일 미래부는 “통신사에 영업정지 처분을 하면 제3자가 피해를 보게 되고, 과징금을 부과하면 그 과징금은 국고에 귀속되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과도한 보조금 경쟁으로 시장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는 오는 13일부터 각 45일간의 영업정지에 들어간다.
미래부는 이통사 영업정지로 소비자, 단말기 제조사와 판매점 등이 겪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도 마련해 발표했다.
미래부에 따르면 이통사는 영업정지 기간에도 지속적으로 제조사의 주력 단말기 일부 물량을 구매해야 한다. 특히 중소 제조업체의 단말기는 수요가 없더라도 영업정지 기간에 미리 구매하기로 했다.
또한 이통사는 대리점에 단말채권 상환기관을 연장해주고, 대리점의 단기 운영자금과 매장 운영비용을 일부 지원하는 등 금융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따라서 미래부는 앞으로 영업정지 기간에 이통 3사와 공동으로 매일 국민 불편사항과 제조사·유통점의 애로사항을 파악해 조치하기로 했다.
이통 3사도 지난 6일 최문기 미래부 장관과의 조찬간담회에서 논의한 불법 보조금 근절 등 단말기시장 안정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영업정지 처분 후속조치와는 별도로 미래부는 LTE·3G 요금제 데이터 제공량 확대, 2·3G 데이터 요율 인하, mVoIP 확대, 노인·장애인 지원 확대 등 다양한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방안에 대한 통신3사와의 협의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또 통신사의 과다한 마케팅비용 축소 등 비용절감을 병행 추진해 국민의 가계통신비 부담을 지속적으로 경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네티즌들은 미래부의 이 같은 방침이 알려지자 “영업정지 당하는 이통사들이 엄청 로비했나 보군요. 영업정지 안 당하는 곳의 요금은 어쩔건가? 이참에 요금 자체를 모두 내려라”(@jnj****), “대한민국 통신요금이 너무 비싸서 국민생활을 어렵게 하는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입니다. 검토만 하지 말고 통신요금 대폭 인하해야 합니다”(@seo****), “요금 할인되면 좋지. 근데 이게 현실적이냐? 약정(계약)에 묶여 있는데 국가가 계약서 파기할래?” (@jdj****)이라며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한 네티즌은(@hae****) “과징금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소비자의 요금 감면. 어쨌든 기본요금을 낮춘다는 게 아니고 일회성으로 끝내겠다는 얘기네?”라고 지적했다.
이어 “영업정지 대신 과징금으로 요금감면해주겠다는 얘긴데. 과징금은 과징금이고 영업정지는 영업정지다. 원래 과징금도 내고 영업정지도 먹어야하는 이통사 입장에선 오히려 이득인 안건 아닌가?”라며 비판했다.
